‘빅테크(Big tech·거대 정보기술 기업)가 바꿀 금융’을 주제로 13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0 미래금융포럼’이 막을 내렸다. 조선비즈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조선비즈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축사 영상을 통해 "빅테크 기업과 금융산업이 서로 주고받는 양방향 상호작용은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깨울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빅테크 기업이 플랫폼을 매개로 소비자와 접점을 넓히고 있다"며 "무한한 상상력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며 금융소비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고 했다.
은 위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금융산업에도 새로운 변곡점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리의 일상에도 많은 변화가 있다"며 "지난 수년간 발전을 거듭했던 비대면 채널은 언택트(untact·비대면) 중심의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금융거래방식으로 확고히 자리잡을 것"이라고 했다.
글로벌 핀테크 전문가이자 ‘금융혁명 2030’의 저자인 크리스 스키너 더파이낸서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대부분의 은행이 디지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은행 업무의 연장선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존의 업무방식을 고수하면서 디지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게 아니라 아예 새로운 방식의 은행업에 도전하면서 디지털을 은행의 핵심 사업으로 삼는 디지털 전환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스키너 대표는 ‘빅테크들의 금융업 진출로 기존 은행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일각의 예측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은행이 디지털화돼도 가치를 저장하고 다루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의 역할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은행의 역할은 디지털화 덕분에 더 강화되고 보완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은행이 적극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투자하고, 조직 구조와 업무 방식을 디지털에 맞게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조연설 다음 순서로는 국내 은행과 빅테크, 핀테크를 대표하는 기업들의 전략과 노하우를 듣는 시간으로 진행했다. 신원근 카카오페이 부사장과 권영탁 핀크(Finnq) 대표, 조영서 신한금융그룹 신한DS 부사장이 차례로 강연자로 나섰다.
생활금융플랫폼 카카오페이의 신원근 전략총괄 부사장은 최근 금융시장의 가장 큰 화두로 테크핀(정보기술 중심의 금융서비스)과 전통 금융지주간 미래 금융혁신 주자 다툼을 꼽았다.
그는 "누가 승기를 잡을지 속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단순히 자신이 갖고 있는 상품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타사의 상품까지 가져와 고객에게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만드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신 부사장은 "미래엔 사용자 니즈가 중심이 되는 금융이 탄생할 것"이라고 했다. 기업이 가진 서비스 내에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폭넓게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영서 부사장은 "10년 후 올해를 바라보면 올해는 한국 금융사가 크로스보더(cross border, 경계선)를 건너는 한 해가 될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부사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에 걸쳐 디지털 수용도가 굉장히 높아진 상황"이라며 "절대로 코로나19 이전 사회로 돌아갈 수 없는 디지털 세상으로 왔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금융사 생존 여부 결정되는 시대"라고 했다.
권영탁 대표는 지난해 12월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된 오픈뱅킹에 따라 금융산업의 새로운 혁신 시대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권 대표는 "(오픈뱅킹 이전에는) 타 은행들과의 계좌 연결이 불가능해 핀크 이용자들의 항의와 이탈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오픈뱅킹이 시작됨에 따라 모든 은행과의 연결이 완료됐고, 우리 직원들에게도 올해부터가 핀크 시작의 원년이라고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마이데이터 산업이 시작된 이후 핀테크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협업과 경쟁이 함께 이뤄지는 ‘협쟁(coo-petition)’이다. 마이데이터 시대가 본격화한다면 다른 금융 경쟁사들과의 협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연자들의 대담도 진행됐다. 이들은 이용자가 중심이 되는 금융 서비스만이 미래금융 환경에서는 살아남을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신 부사장은 "이용자 중심으로 얼마나 많은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느냐가 핵심 역량이 될 것"이라고 했다. 권 대표는 "사회 전반에 언택트가 뉴노멀로 자리를 잡고 있다. 앞으로 오프라인 회원 수는 현저하게 낮아질 게 분명하기 때문에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조영서 부사장도 "액티브 시니어 계층의 경우 그동안 디지털 금융을 쓰지 않았는데 (코로나 사태로) 어쩔 수 없이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며 "막상 써보니까 가능하다는 생각을 한 것 같다. 이제는 한국의 모든 세대가 디지털화된 셈"이라고 말했다.
=송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