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너지] "탈원전 정책 후 학생들 흔들려...'스마트 원전' 수출도 위기"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이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미래에너지포럼’ 3세션 연사로 나서 발표를 하고 있다.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이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미래에너지포럼’ 3세션 연사로 나서 발표를 하고 있다.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은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조선비즈 주최 ‘2019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심 학과장은 "학생들이 탈원전 정책에 크게 불안감을 느끼고 다른 쪽으로 진로를 모색하고 있는 것 같다"며 "공대를 떠나 의대로 옮기는 현상이 강해졌고 정시모집 지원자 수도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원자력 공학) 학문마저도 탈원전 정책에 휘둘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의 세번째 세션 ‘에너지 강국 도약 위한 기술 개발과 인재 육성’에서는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원자력 인재 이탈이 화두였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신입생 정시모집 경쟁률은 2016년 5대 1에서 2017년 4.67대 1, 2018년 3.91대 1, 2019년 3.63대 1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탈원전 정책 여파로 카이스트의 신입생 수도 급격히 줄었다. 올해 카이스트 원자력 학과에 진학한 신입생 수는 4명으로 탈원전 정책 직전인 2016년(22명) 대비 81% 급감했다.

최성민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학과장이 발언하고 있다.
최성민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학과장이 발언하고 있다.

세션 패널로 참가한 최성민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학과장도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우수 인재 이탈에 우려를 표했다. 최 학과장은 "두뇌로 캐는 에너지인 원자력을 육성하는게 우리가 에너지 강국이 되는 길이며, 그 첫걸음은 탈원전 정책의 철회"라며 "정부가 신차(원전) 생산 없이 폐차(원전해체) 산업을 양성하겠다고 하는데 폐차 산업에 우수한 인재들이 유입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미래 비전과 적극적인 투자가 있어야 우수 인재의 도전정신과 창의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며 "정부가 가동 원전의 운전 연한 연장, 신규원전 건설 허용, 원자력의 저탄소 에너지 가치 인식 확산 등의 노력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원전 산업이 다른 나라의 추격을 강하게 받고 있는데 탈원전 정책으로 시장을 개척해 나갈 추진 동력을 잃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원자력은 국가 총력전이 필요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새로운 결정과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김긍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스마트개발단장(왼쪽)과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 공학부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김긍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스마트개발단장(왼쪽)과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 공학부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스마트 원전 수출 산업의 지속을 위해선 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긍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스마트개발단장은 "스마트 원전이 상용화 되려면 기술 개발을 완성시키는 기술검증과 연구개발 확대가 필요하다"며 "스마트 원전을 전 세계에 상용화하기 위한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한국 정부의 원전 지원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답글 남기기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