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저유가·신재생에너지라는 메가 트렌드가 미래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판도를 완전히 바꿀 것입니다.”
‘2015 미래에너지 포럼’에 참석한 각계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축소 정책 강화와 저유가, 신재생에너지 확산 등이 전통적인 에너지 산업 구도를 흔들고,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형태로 바꿀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중국이 에너지 산업 변화의 선두에 서 있는 국가로 발돋움한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이번 포럼에는 3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 온실가스 감축하면 선진국도 이득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미래 에너지 정책을 구상할 때 UN(국제연합)이 추진 중인 궨2020년 신(新) 기후변화체제궩를 주요 변수로 놓아야 한다고 이구동성으로 지적했다.
UN과 국제사회는 2020년 교토의정서 종료에 맞춰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가로 줄이는 국제협약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줄이기로 결정했다.
로버트 스태빈스 하버드대 교수는 최근 미국 환경청(EPA) 분석 결과를 소개하면서“온실가스 배출 감축 규모가 큰 선진국에서도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이 경제적 사회적으로 이득을 가져다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며“여러 나라가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손양훈 인천대 교수(전 에너지경제연구원장)는“사우디아라비아도 20년 뒤 전기 생산의 절반을 태양광으로 충당할 계획”이라며“화석연료에 의존한에너지 수급 전략이 지속 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 단계를 지났다”고 지적했다. 최재철 외교통상자원부 기후변화대사는“장기적인 시각에서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스마트 그리드, 미래산업 중심축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전문가는 미래에너지 분야 사업기회를 강조했다. 김상협 카이스트(KAIST) 교수는 “기후변화 시대에 신재생에너지와 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그리드 확산은 미래 산업의 중심축”이라고 말했다. 전력 생산 관리 배분을 통합한 그리드(전력망) 산업을 집중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여럿나왔다.
김성훈 KT 에너지사업본부장은 각 가정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집계, 분석해 발전소가 수요에 맞춰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돕는 원격계측시스템(AMI)을 소개했다. 김홍연 코캄 상무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을 위한 펀딩 프로그램 설립을 제안했다. 2014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저유가 국면과 관련해 참석자들은“구조적인 원인이 있어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정우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유가가 떨어진 근본 원인은 미국 셰일가스 개발 등 여러 공급 증가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이 자원개발의 호기라는 조언도 제기됐다.
허은녕 서울대 교수(에너지시스템공학부)는“미국의 셰일가스 성공도 오랜 기간 연구개발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며“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에너지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한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원영재 베이징 클린아시아연구소 대표는“중국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에 집중 투자할것”이라며 “기술력이 뒷받침되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여지가 상당하다”고 했다. 성창모 녹색기술센터 소장은“중국은 대외원조(ODA)와 연계한 해외 수출에도 적극적”이라고 했다.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화석연료 제쳐
이우현 OCI 사장은 “지난해부터 미국에서 태양광 발전 비용이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 비용보다 저렴해졌다”며 “이제 보조금 없이 실질 수요로 시장이 성장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그는 중국, 인도, 아프리카 등에서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포럼에서는 신재생에너지만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차량도 전기차만 운행하도록 하겠다는 제주도의 시도에 관심이 집중됐다.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도를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장치),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세계적인 인증센터이자 테스트베드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