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는 혼자 만의 공간이던 인터넷을 사회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탓에 밖에 나가는 것이 불가능해 졌고, 우리는 집 안에서 메타버스에 접속해 타인과 교류하는 경험을 하게 됐다. 코로나 이후에도 메타버스에서 많은 이들이 이뤄지고, 또 그렇게 될 것이다.”
메타버스 시초로 불리는 게임 ‘세컨드라이프’의 개발자이자 ‘메타버스 몽상가’로 불리는 필립 로즈데일 린든랩 창립자는 28일 온라인 개막한 ‘스마트클라우드쇼 2021′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기조강연으로 마련된 정지훈 모두의연구소 최고비전책임자(CVO)와의 대담에서 “1990년 처음 들었던 메타버스에 대한 개념은 세컨드라이프를 통해 화제가 됐다가 잠시 사라졌지만, 지금으로 모두가 얘기하고 있다”라며 “메타버스는 가상 공간에서도 사회적 경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해 낸 플랫폼으로, 린든랩이 세컨드라이프의 모든 것을 통제했다면 앞으로의 메타버스는 어느 누구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탈중앙화 개념이 도입돼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
“일부의 사람들은 메타버스가 일시적 유행이라고 보기도 한다”는 정 CVO의 말에 로즈데일은 “세컨드라이프를 예로 들자면, 우리는 충분한 사회적 경험을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지 못했고, 많은 사람들은 대면 서비스를 좋아했다”라며 “우리가 다양한 서비스를 메타버스에서 제공할 수 있다면 메타버스는 더 발전하고, 활발해 질 것이다”라고 했다.
다만 로즈데일은 메타버스의 경험성을 높이기 위한 하드웨어의 더딘 발전은 메타버스의 확장에 발전에 저해가 되고 있다는 견해도 밝혔다. 정 CVO 역시 영화 ‘레드 플레이어원’에서 나타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기가 현재의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즈데일은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남녀노소 누구나 메타버스에 진입하기 위한 기기는 아직 없다는 게 현재의 한계점이다”라며 “지금은 (오큘러스와 같은) VR 고글을 쓰고 있다가 전화가 오거나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려면 고글을 벗어야 하는데, 이런 것은 메타버스 경험을 저해하는 요소다”라고 했다.
정 CVO는 “애플이 내년 공개한다고 알려진 AR 안경이 스마트폰 확대에 아이폰이 기여한 것처럼 (메타버스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겠느냐”고 했다. 로즈데일은 “개인적으로 애플은 수많은 기술 분야의 초기에 훌륭한 제품들을 내놨지만, 이런 기술을 통합해서 VR기기로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해선 회의적이다”라며 “VR(기기)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10년은 지나야 수억명이 사용하게 되는 의미있는 진전이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현재의 메타버스는 코로나19의 안티테제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만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가상공간에 모였다는 것이다. 정 CVO는 “코로나19가 내년쯤 끝날 것이란 예상이 있고, 그 이후에 우리가 일상으로 돌아가더라도 메타버스가 우리의 미래라고 볼 수 있나?”라고 물었다. 로즈데일은 “코로나19는 꽤 오래 지속됐고,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이 사실이고, 사람들은 언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여러 기대가 있다”라며 “한가지 분명한 점은 사람들이 메타버스를 통해서 지구 반대편이라도 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앞으로 해외 왕래가 자유롭게 되더라도 경제적으로 메타버스에서 함께 일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볼 것이다”라고 했다.
‘인피니트 오피스’는 그런 메타버스 경험이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평가 받는다. 인피니트 오피스는 지난해 9월 페이스북에 공개한 가상 사무실 환경으로, 지난 2014년 페이스북에 인수된 오큘러스의 VR기기를 활용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업무를 볼 수 있게 했다. 로즈데일은 “(인피니티 오피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라며 “노트를 공유하고, 화이트 보드에 글씨를 쓰는 등의 행위를 통해 소수의 사람들이 함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라고 했다.
= 박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