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수소를 활용하는 기술, 특히 수소 연료차 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우리는 승용차, 버스, 트럭 등 모든 자동차를 수소차로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나라가 됐습니다. 한국이 국제사회 협력과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수소경제 주도권을 잡아야 합니다.”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은 17일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1 제9회 미래에너지포럼' 강연에서 “수소경제는 수소 연료전지차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탄소중립과 그린수소가 바꿀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문 회장은 ‘수소와 미래’에 대해 강연했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는 수소차산업 확산을 목적으로 한 민관협의체다. 올해 미래에너지포럼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조선비즈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문 회장에 따르면, 현재까지 세계 30여개국이 대대적인 수소 전략을 마련하고 미래 주도권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전략은 모두 제각각이다. 독일 등 유럽의 경우 남은 전력을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에 집중하고 있고, 캐나다, 호주 등 넓은 국토를 가진 나라들은 태양광·풍력으로 수소를 대량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UAE) 등 전통 산유국 역시 수소 생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은 미국과 함께 수소 활용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수소 연료전지차 기술에서 앞서나가고 있다는 것이 문 회장의 진단이다. 그는 “한국은 현재 갖고 있는 기존 제조업 경쟁력을 활용하면 세계 최고 수소경제 선도국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자동차를 비롯한 모빌리티 분야에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내에만 85만대의 수소차가 보급될 예정이다. 문 회장은 “현재 국내 수소차는 1만4000대에 불과하지만 올해 말이 되면 2만대를 넘어설 것” 이라며 “충전소는 현재 전국 81곳에서 머지않아 300개까지 늘어나고 2030년이 되면 전국 방방곡곡에 깔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소 생산량이 급속히 늘어나면 수소 가격도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문 회장은 다만 추가적인 노력이 있어야 체계적으로 수소경제를 준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 정책의 일관성과 수소산업 생태계의 균형있는 성장, 민간투자 활성화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정책 일관성'의 경우 한국은 세계 최초로 수소 진흥과 안전을 체계화한 법을 제정해 수소경제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지속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상태다. 그는 “수소경제위원회가 출범해 각종 수소 관련 정책이 발표되고 있고, 수소 진흥·유통·안전 관련 전담 기관도 지정된 상태”라고 전했다.
수소산업 생태계의 성장을 위해 정부는 수소기업 중 매출과 연구·개발(R&D) 비중이 일정 수준 이상인 기업을 수소전담기업으로 지정해 집중 육성하고 있다. 문 회장은 “2040년까지 1000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수소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현재 1차로 11개 기업이 지정됐다”고 말했다.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핵심 부품을 국산화하는 것 역시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문 회장은 수소경제 성공을 위해 국제 협력을 특히 강조했다. 그는 “많은 나라가 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라며 “국내에서도 수소를 생산해 조달하겠지만, 많은 부분은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만큼 입체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사회 노력에 동참하면서 수소 주도권에서 뒤쳐지지 않도록 기술개발과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을 해나간다면 한국은 2050년 탄소중립이 실현됐을 때 미래 수소 선도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