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9일(목) 09:00~16:50
| 시간 | 내용 | 강연자 | 
| 09:00 ~09:20 | 개회식 | |
| 세션 1 건강한 삶을 위한 혁신 기술의 도전  | 
||
| 09:20 ~09:50 | 기조강연 1 유전체학이 여는 헬스케어의 미래  | 
에드가 맥빈(Edgar MacBean) (일루미나 시장개발 총괄) | 
| 09:50 ~10:20 | 기조강연 2 유전자 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서울대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장) | 
| 10:20 ~10:50 | 기조강연 3 유전체학과 빅데이터가 이끄는 헬스케어의 혁신  | 
존 매틱(John Mattick) (호주 가반 연구소 RNA Biology and Plasticity 랩 디렉터) | 
| 10:50 ~11:00 | Coffe Break | |
| 11:00 ~11:20 | 전문 강연 1 암질환 극복을 위한 정밀의료  |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장 | 
| 11:20 ~11:40 | 전문강연 2 치매 등 뇌질환 극복을 위한 첨단 의료의 노력  | 
배애님 KIST 박사 (치매DTC융합연구단장) | 
| 11:40 ~12:10 | 오픈토크 | 좌장 서유헌 (가천대 뇌과학연구원장) 패널  | 
| 12:10 ~13:10 | 메디컬러 해커톤 수상팀 발표 / 점심식사 | |
| 세션 2 혁신사례로 본 헬스케어 미래  | 
||
| 13:10 ~13:40 | 기조강연 4 Precision Medicine in Oncology  | 
인고 샤크라바티(Ingo Chakravarty) 나비칸(Navican) CEO | 
| 13:40 ~14:55 | 사례발표 국내 최초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 케이 주’ 개발  | 
김수정 (코오롱생명과학 연구소장)  | 
| 보행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 | 공경철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 | |
|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과 한일 R&D 협력 모델 | 박찬희 (C&C신약연구소 탐색연구센터장) | |
| 인공지능 헬스케어 챗봇 개발 | 김민열 (헬스케어챗봇 대표) | |
| 첨단바이오의약품 투자와 개발 | 전복환 (대웅제약 바이오센터장) | |
| 14:55 ~15:10 | Coffee Break | |
| 세션 3 혁신 친화적인 바이오헬스산업 규제개선  | 
||
| 15:10 ~15:30 | 전문강연 3 기술 혁신과 헬스케어 규제  | 
이명화 (STEPI 연구기획팀장) | 
| 15:30 ~15:50 | 전문강연 4 헬스케어 혁신과 일자리 창출  | 
김영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교수) | 
| 15:10 ~15:40 | 오픈토크 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과 헬스케어의 결합  | 
좌장 선경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패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