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6년이면 인공지능(AI) 업무 자동화 솔루션인 ‘하이퍼오토메이션’ 시장 규모가 14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 전 세계 기업들은 하이퍼오토메이션 구현을 시작했고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박재혁 삼성SDS 하이퍼오토메이션(Hyperautomation) 사업팀 상품기획그룹장은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국내 최대 테크 콘퍼런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 그룹장은 “생성형 AI가 등장했지만, 기업의 고민은 여전하다”며 “AI 인프라를 구현할 때 비용이 들기에 섣불리 활용했다가 수익이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하이퍼오토메이션은 고도화된 AI를 통해 힘들이지 않고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개념으로, 최근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박 그룹장은 “하이퍼오토메이션의 궁극적인 목표는 ‘엑셀 자동으로 만들기’ 같은 단순 작업을 넘어, AI가 사람처럼 문서를 읽고 판단하며 학습한 자료를 토대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라며 “내년쯤에는 전 세계 70% 이상의 기업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AI 역량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삼성SDS는 자사 하이퍼오토메이션 서비스인 ‘브리티 오토메이션’을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다. 박 그룹장은 “브리티 오토메이션은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고객사에 기업 업무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끊김 없는 자동화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브리티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고객사의 실무자 7명이 베트남 보건부의 정책 원문을 번역해서 내용을 확인하고 현지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기까지 1주밖에 걸리지 않았다”며 “행정처분 리스크와 제품 출시 지연 같은 요소를 전부 피해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그룹장은 “삼성SDS는 브리티 오토메이션의 기능을 지속해서 보강해 대표 AI 솔루션 업체로서 입지를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AI)이 기업의 생산성을 59%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제 경영진에게 AI 교육은 필수다. 경영진부터 AI가 사업을 어떻게 바꿔놓을 수 있을지 배우고 생각해야 한다.”
수미르 바티아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 그룹(ISG) 아시아·태평양 사장은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국내 최대 테크 콘퍼런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레노버 ISG는 AI·고성능 컴퓨팅(HPC) 등 레노버 그룹의 IT 인프라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의 기상청도 레노버의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기상 예보와 지진·기후 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바티아 사장은 “AI는 사업 이익도 늘려주는 데다 직원이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만들고, 고객도 더 나은 결과물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며 “미국의 대표적인 유통업체 크로거는 AI를 무인 계산대에 적용한 후 결제 오류를 75% 줄였고, 재고 가용성도 극대화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바티아 사장은 AI의 편의성에도 불구, 많은 기업들이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고투자책임자(CIO)의 83%가 AI의 혁신적인 영향력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이들 중 50%만이 AI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AI를 위해 인력을 고용하거나 기술을 연구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바티아 사장은 “기업 내 AI 관련 조직을 만들어 데이터 기반 문화를 구축하고, 여러 팀과 연대해 관련 실험과 탐구를 이어가야 한다”며 “최고정보책임자(CIO)를 포함한 임원은 어떤 AI 모델이 어떻게 구현돼야 조직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티아 사장은 또 “AI는 더 이상 기다려주지 않는다”며 “AI가 당신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하고, 당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태희 효성중공업(328,000원 ▼ 18,000 -5.2%) 대표이사는 “전력 수요가 늘어나면서 앞으로 전력 송·배전 인프라(기반시설)를 얼마나 잘 구축했는지, 전력 손실을 얼마나 적게 하는지가 국가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 대표는 27일 조선비즈 주최로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은 동전의 앞면과 뒷면이다. 어느 한쪽도 무시할 수 없고 같이 가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 대표는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요인으로 ▲탄소 중립 ▲디지털화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등 크게 세 가지를 꼽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전 세계 전력 수요는 현재 정책을 유지하는 시나리오(STEPS)상으론 2050년에 3만8746TWh(테라와트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 달성 시나리오(NZE)에 따르면 전력 수요는 2050년 7만3874TWh로 늘어난다. 우 대표는 “두 시나리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수소”라면서 “2040년 이후에 수소가 얼마나 에너지를 대체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 대표는 그리드(전력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재생에너지는 간헐적이고 변동성이 크며, 예측이 어렵다”면서 “제주도와 영국 등에선 오히려 재생에너지를 필요보다 더 많이 생산해 버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리드 투자는 2030년까지 연평균 12.4%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2030년까지 500개 이상의 전력망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고, 호주는 2050년까지 1만㎞에 이르는 신규 송전망을 건설하는 등 각국의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수요는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 대표는 “전력 수요가 커지면서 앞으로는 송·배전의 전쟁이 될 것”이라며 “이 시장을 잘 통제하고 해결책을 찾는 국가가 미래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 가능한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