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상 한국수력원자력 전략경영단 원자력정책실장은 “세계 곳곳에서 안정적으로 대규모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원자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기존에 원전을 운영하던 국가는 원전을 확대하고, 원전 가동을 멈췄던 국가는 재가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조선비즈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가 유럽에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하자 에너지 안보에 대한 위기의식이 커졌고, 그 대안으로 원전이 부상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우상 한국수력원자력 전략경영단 원자력정책실장이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 조선비즈
이우상 한국수력원자력 전략경영단 원자력정책실장이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 조선비즈

100만킬로와트(㎾)급 발전소를 1년간 운영할 때 필요한 연료량은 석탄 220만톤(t), 석유 150만t, LNG 110만t 정도다. 반면 원자력 발전의 원료인 우라늄은 20t으로 같은 규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그는 “우라늄은 전 세계에 고르게 분포돼 있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다. 전체 에너지의 94%를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입장에서는 국가 안보를 위해서라도 원전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원자력 발전이 가격 측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2년 기준 한국전력의 전력 판매단가는 1㎾h당 120.5원이었는데, 한전이 원전에서 전력을 구매한 가격은 1㎾h당 52.5 수준이었다.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전기료를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원자력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세계 곳곳에서 원전 확대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운영 중인 370여개의 석탄발전소 중 80%가 원전 전환 적합 판정을 받았다. 전환 대상 석탄발전소의 발전 용량은 250기가와트(GW)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는 한수원이 제작하는 대형 원전 ‘APR1400′ 180기에 달하는 규모다.

이어 “프랑스도 지난 2022년 최대 14기의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했던 일본도 정지 중이던 원전 17기를 재가동하고, 신규 원전을 건설하겠다는 방침을 지난해 2월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원전의 설계수명 40년이 지난 뒤에도 20년씩 연장해 60년~80년간 계속 운전을 하고 있고, 일본도 최근 20년 단위로 계속 운전을 허가하는 제도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한국은 10년 단위로 계속 운전을 허가하고, 그마저도 아직 2번 연장한 사례가 없다. 이 실장은 “한국 원전의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국과 일본처럼 계속 운전 기간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2024 미래에너지포럼

=정재훤 기자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는 27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미·중 갈등이 촉발한 에너지 안보 위기로 세계 각국에 에너지 민족주의 바람이 불고 있다”며 “에너지 내셔널리즘 시대에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가 27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조선비즈 미래에너지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가 27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조선비즈 미래에너지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는 ‘2024 조선비즈 미래에너지포럼’이 ‘에너지 내셔널리즘’이란 주제로 열린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에너지 전문가들이 참석해 글로벌 에너지 안보 위기 현황과 향후 변수를 소개한다. 석유, 전력망, 원전, 천연가스 등 주요 발전원별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이다.

기조연설은 ‘美 대선과 에너지 정책의 변화’라는 주제로 조지 데이비스 뱅크스 전 트럼프 행정부 에너지·환경 특별보좌관이 맡는다.

#2024 미래에너지포럼

=권유정 기자

2020 미래에너지포럼

"지금 세계는 ‘탈(脫)탄소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전환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은 원자력 발전입니다."

아그네타 리징(Agneta Rising) 세계원자력협회 사무총장은 20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조선비즈 주최 ‘2019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리징 사무총장은 원전이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프랑스와 스웨덴, 스위스 캐나다 온타리오주(州) 등이 원자력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이유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다"라며 "원전은 전력 생산 비용을 낮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리징 사무총장은 "프랑스를 보면 전력 수요 증가분의 상당 부분을 원전으로 충당하고 있다"며 "원전 비중을 75~80%로 늘리는 한편 주변 국가에 원자력 기기와 기술을 수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징 사무총장은 독일이 원전 비중을 줄이면서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독일은 오랜기간에 걸쳐 3000억유로를 투자해 청정 에너지 전환에 나섰지만 의미있는 감축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며 "독일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못하고 있다는 것은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전력 수요 증가분을 충당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리징 사무총장은 세계적으로 원전 수요와 공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했다. 그는 "2015년 파리 기후 협약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0기의 새로운 원전이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량의 15%를 충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리징 사무총장은 "세계 원전 산업은 2050년까지 신규 원전 용량을 1000GW 추가해 현재의 3배 수준으로 늘릴 것"이라고 했다.

리징 사무총장은 한국이 이런 계획에서 중요한 축을 맡고 있다고 했다. 그는 "한국은 자체적인 원전 발전 인프라를 구축한 역사를 갖고 있다"며 "글로벌 수출 시장에 원자력 기술을 내놓을 정도의 입지를 구축한 한국이 명성을 이어나갈 수 있다면 전 세계가 혜택을 볼 것이다"고 말했다.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