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상승장의 한 가운데, 아직 개인 투자자들 많이 들어오지 않았다”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매수 평단 가 등 다양한 지표로 시장에 대한 밸류에이션을 하는데, 사실 이런 지표들을 볼 때 비트코인 시장은 아직 과열되지 않았습니다.”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5 가상자산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블록체인을 통해 15초마다 전 세계 금융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인류 사상 한번도 없었던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주대표는 “어떤 자산 시장에 자본이 얼마나 들어왔고 나갔나 이걸 알 수 있는 다른 자산은 없다”며 “그런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매수 매도가 모두 찍히니까 계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비트코인 시가총액이 증가한 폭을 보니 한화로 544조원인데, 이 자본이 어디서 들어왔나 이런 것들까지 하나하나 뜯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모든 거래와 금융 통계가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개되는 세상에서는 예측과 추정을 할 필요가 없다”며 “블록체인 상의 온체인 데이터는 지금의 원시적인 금융 분석을 과학의 영역으로 이끌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주대표는 “시장에 이정도의 돈이 들어왔으면 이정도가 천장이다 이런 것들을 분석해볼 수 있는데, 시장에 들어온 자본의 총량으로 볼 때 비트코인의 천장 가격은 16만1000달러로 계산할 수 있다”며 “결론적으로 지금은 상승장의 한 가운데 시점으로 보인다, 아직 거래소에 개인 투자자들이 생각보다 적게 모인 영향”이라고 말했다.
이날 주대표는 한국 가상자산 시장에 대해 ‘알트코인의 나라’라고 표현했다. 그는 “한국은 알트코인의 거래량이 97프로인데 이게 모두 법인 기관들이 아닌 개인 투자자 거래량이라서 그렇다”며 “제도적 정비를 거쳐서 우리나라도 기관들을 비트코인 시장으로 문을 열어 데려와야한다, 그게 우리가 비트코인 시대의 리더로 성장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
㈜시몬느 패션 컴퍼니 대표이사
2024 유통산업포럼 K럭셔리의 탄생 - 글로벌 하이 엔드 패션 산업의 흐름과 한국, 아시아의 역할
고금리 상황에서 현금 충분치 않은 기업, 메자닌 만기 버거울 수 있어
“메자닌(주식과 채권의 중간 성격을 띠는 상품)은 주가가 오르면 발행사가 갚지 않아도 돼 문제없는데, 현재는 고(高)금리에다가 많은 기업의 주가가 빠진 상태입니다. 요즘 같은 시기엔 회사 재무제표를 확인해 메자닌 만기를 확인하는 게 투자 팁이 될 겁니다.”
정규봉 르네상스자산운용 대표는 1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3 글로벌 경제·투자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포럼은 ‘넥스트 차이나(Next China) : 한국 투자자에게 필요한 디리스킹 전략을 찾아라’를 주제로 열렸다.
정 대표는 신영증권 베스트 애널리스트 출신으로 주로 스몰캡(중·소형주) 종목을 분석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술사업화 협의체 전문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날 정 대표는 시장 상황이 좋을 때는 메자닌이 훌륭한 투자 방식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대표적인 메자닌 상품인 전환사채(CB)는 발행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소유자가 원하면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사채다. 그는 “일반 주식은 하락하면 투자자가 손해를 입지만 CB는 채권”이라며 “가격이 빠져도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고 채권으로 갖고 있으면 돼 원금 손실을 보지 않는다”고 했다.
CB를 발행한 회사도 저렴한 가격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주가가 오르면 투자자가 주식으로 전환하고, 채권에 대한 상환 의무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가격이 내리면 투자자는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되지만, 발행사는 빌린 돈을 갚아야 한다. 고금리에 자본시장이 부진해진 요즘 같은 때는 메자닌 투자 매력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정 대표는 “금리가 오르면 자금 조달 금리도 올라 투자가 위축되고, 시장 참여자들은 냉정해진다”고 했다.
정 대표는 과거 발행된 메자닌 중 올해 만기가 도래한 물량이 상당하다는 점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통상 메자닌의 만기는 3년 또는 5년이다. 그는 “현재 상당수 매물의 주가가 빠진 상태라 발행사가 상환 의무를 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평소 현금 흐름이 좋은 회사라면 이런 상황을 견딜 수 있지만, 수익성이 부실한 테크 기업 등은 현금 보유량이 적어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다. 정 대표는 “회사 재무제표를 확인해 메자닌 만기를 확인하는 게 투자의 팁이 될 수 있다”며 “곧 메자닌 만기가 돌아오는 기업 중 주주가 폭탄을 떠안을 우려가 있는 회사 투자는 지양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고금리 흐름에 어려운 건 메자닌뿐 아니라 인수·합병(M&A) 시장도 마찬가지라고 정 대표는 전했다. 그는 “조달 금리가 올라 연기금 등이 예전처럼 돈을 풀지 않는다”며 “현재 M&A 시장은 재무적 투자자(FI)가 아닌 전략적 투자자(SI)가 주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로 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기업 자체에 대한 관심은 적은 FI와 달리 SI는 기업 경영에 직접 참여해 장기적 이득을 추구하는 투자자다.
정 대표는 “과거에는 휴식을 원하는 창업주나 회사를 물려받고 싶지 않은 2·3세가 M&A 시장에 기업을 내놓는 경우가 많았다”며 “반면 최근에는 경기가 어렵다 보니 기업을 살리기 위한 M&A가 늘어나는 추세고, 회사 운영을 잘할 회사가 인수에 나서고 있어 FI보다는 SI가 주도하는 분위기가 된 것”이라고 했다.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유튜브 ‘채부심’ 대표
2023 글로벌경제투자포럼 강연 3 - 부동산 시장, 프로그램의 시대를 대비하라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넥스트플랫폼분석팀장
베타 재팬(b8ta Japan) 최고경영책임자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 아시아태평양 리서치 본부장
회원가입 후 이용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