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혁신성에 중점을 두고 심사했다. 기술로 소비자 편의성을 끌어올린 제품, 건강적인 측면과 먹는 즐거움, 중요성이 커진 지속 가능성 부문에서 새로움을 가지고 온 제품에 초점을 맞췄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가 후원한 ‘2024 대한민국푸드앤테크대상’에서 심사위원장을 맡은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31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심사에 대해 이렇게 총평했다.
문 교수는 “올해 출품된 231개 식품을 간편식품과 일반식품의 두 가지로 나눈 뒤, 간편식품은 4가지로 일반식품은 12가지로 나누어 공정히 평가했다”면서 “서울대 푸드비즈랩과 강릉원주대학교 식품마케팅랩 연구원 9명이 1차 평가를 진행해 63개 결선 진출 제품을 정했다”고 심사 과정을 소개했다.
1차 심사에서는 평가원들이 데스크 평가를 마친 뒤, 한데 모여 제품에 대한 관능 평가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제품이 어떤 특성과 시장 경쟁력이 있는지 분석한 뒤 각 카테고리 내 출품 제품끼리 비교 평가했다. 또 해당 카테고리에서 아직 시판되지 않는 것들은 시장에 나왔을 때 어떤 경쟁력을 가질 것인지에 대해서도 평가가 이뤄졌다.
국·탕류, 면류, 밥·죽류, 양·분식류 4가지 카테고리로 평가한 간편식품은 49개 출품작 가운데 20개가 결선에 진출했다. 음료·소스 및 양념·유제품·스낵·제빵·빙과·라면·육가공·식물성 대체식품·수산물가공·신선식품 등 12가지 카테고리의 일반식품에는 182개가 출품돼 43개가 결선에 진출했다.
문 교수는 “2차 결선 평가는 학계와 연구소, 유통업체 상품기획자(MD) 등 전문가 8명이 모여 16개 부문에서 제품을 평가해 베스트(BEST) 제품을 선정했다”면서 “특히 올해는 지난 행사에 비해 많은 제품이 나왔고, 대회 위상이 올라가 훨씬 흥미롭게 심사했다”고 말했다.
그는 “결선 평가에서 가장 중요하게 본 것은 ‘혁신성’”이라면서 “전반적으로 이전보다 소비자를 배려하고, 시장성에 초점을 맞춘 제품들이 많이 출시됐다”고 했다.
결선에서는 편의성·건강성·즐거움·지속가능성 등 4가지 차별화 속성을 평가했다. 제품별 10점 만점으로 심사단은 일체 상의나 점수 공개를 하지 않고 평가했다. 베스트 제품은 심사단 평가 가운데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점수를 평균 내 뽑았다.
푸드테크 부문 심사를 맡은 송진호 마그나인베스트먼트 부사장은 “푸드테크는 인포메이션테크·바이오테크·로보틱스처럼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기술을 결합한 신산업”이라며 “식품 개발은 물론 서비스, 생산 공정, 유통 같은 과정에서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했다.
송 부사장은 “올해 푸드테크 부문은 기술력을 얼마나 확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며 “이전 혁신 기술은 식품이나 농업 부문에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지만, 이제 식품이나 농업에서 가치를 발휘할 만한 기술들이 들어오고 있다”고 했다.
푸드테크 기술 부문 심사는 기획력과 실행력, 사업성, 조직역량 등 4가지 항목으로 평가가 이뤄졌다. 가장 높은 배점을 가진 항목은 사업성으로 ‘해당 분야의 국·내외 시장 규모 및 진출 점유 가능성’과 ‘사업에 대한 성장 가능성 및 시장 경쟁력’ 등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
송 부사장은 이 같은 평가 기준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을 수상한 엠트리센에 대해 “모돈(母豚) 상태를 머신 비전 기술을 바탕으로 관리하는 기업”이라며 “관제 시스템처럼 원격으로 모니터링이 되고 측정이 되기 때문에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유럽과 미국, 나아가 중국 시장까지 도입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방줄기세포 유래 세크리튬(secretome)을 출품한 심플플래닛에 대해선 “유효 성분을 가지고 건강 기능식품과 의약품 소재까지 개발할 수 있는 회”라고 말했다. 네스프레소 기반 티캡슐과 추출머신 메디노를 출품한 메디프레소는 “기존 제품을 활용해 우리 차 문화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수 있는 기술을 가진 기업”이라고 송 부사장은 말했다.
그는 “올해는 기업대이나 식품 관련 중견기업에서도 활발하게 참여를 해 주다”며 “내년에도 더 좋은 기술들이 출품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은 “견고하고, 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녹색 전환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27일 조선비즈 주최로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전 세계가 자국의 에너지 자원을 보호하고 해외 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면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암참은 에너지 분야의 혁신과 협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탄력적인 인프라 개발을 주도한다“면서 “베이커 휴즈(Baker Hughes)·GE·LG에너지솔루션·포스코 등 많은 암참 회원사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설루션을 위해 협력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한미 양국이 지난해 8월 미국 대통령의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3국 정상회의에서 기후, 환경, 에너지 문제를 두고 여러 차례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당시 이들 3국은 메콩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지원하고, 수자원 안보 및 기후 회복력을 증진하기 위해 공동하고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 회장은 “한미 동맹은 지역 안정의 초석이자 글로벌 에너지 협력의 모델이 돼 에너지 복원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면서 “에너지원 다변화,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 그리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한미동맹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암참은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의 최적의 헤드쿼터(본부)라고 생각한다”며 “글로벌 에너지 환경이 계속 진화하면서 더 많은 미국 기업이 한국에 지역 본부를 설립하는 건 인도·태평양 전체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라시아그룹 에너지·기후·자원부문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