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 리서치 부사장


프로필

  • 2017 ~ 현재
    • SNE 리서치 부사장

  • 2014 ~ 2016
    • Samsung SDI ESS 사업부 영업팀 부장

  • 2008 ~ 2015
    • Samsung SDI PDP 사업부 영업팀 부장

  • 2002 ~ 2007
    • Samsung SDI 브라운관 사업부 중국 영업 주재원 차장

  • 2001
    • Samsung SDI 브라운관 사업부 과장

과거 참여 이력

  • 2023 미래에너지포럼 강연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전망, 그리고 IRA, CRMA

2023 미래에너지포럼 강연 4 -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전망, 그리고 IRA, CRMA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은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네번째 세션 ‘스마트시티와 에너지’ 주제 발표를 통해 “과거 하이테크 기업이 주도한 스마트시티 운동은 기술에 매몰돼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이런 반성하에 최근 시민의 삶에 집중하는 ‘스마트시티 2.0’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송 센터장은 서울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하고 MIT에서 항공우주학 박사학위를 받은 재생 에너지 및 클린테크 전문가다. 태양광, 풍력, 배터리 등 재생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한국과 아시아의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이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송 센터장은 이날 주제 발표에서 맥킨지 내부 연구를 바탕으로 10여년전 태동한 스마트시티 운동이 주목할만한 성과를 내놓지 못한 배경과 최근 스마트시티 관련 동향을 소개했다. 맥킨지는 효율적인 스마트시티 적용으로 도시의 형태와 규모에 상관 없이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을 기본으로 빌딩 자동화, 홈 인포메이션 기술을 활용하면 도시의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송 센터장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최적화와 시간별 전기 가격 차별화만으로도 에너지 소비량이 크게 줄었다”며 “특히 에너지 가격을 차별화하자 의사결정이 고도화돼 시민의 삶이 개선되고 행동양식이 변화한다는 점이 포착됐다”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2007년 무렵 처음 시작된 초기 스마트시티 개념을 ‘스마트시 1.0’으로 정의한다. 송 센터장은 “기술은 시민 삶 개선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지만, 초기 스마트시티는 공공부문을 등한시해 하이테크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따랐다”며 “최근 조류인 스마트시티 2.0의 목표는 기술로 시민의 궁극적인 삶과 행동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스마트시티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도심 내 공공문제를 안전, 건강, 에너지, 물, 폐기물, 운송수단, 경제와 주거, 커뮤니티 등 8가지로 나눠 각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분석했다. 이어 도시의 8가지 분야가 변화함에 따라 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을 건강, 편리함, 안전, 삶의 비용, 일자리, 환경의 질, 커뮤니티 등 7가지 지표로 재분류했다.

송 센터장은 “세계 50개 도시를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에 따라 3 종류로 나눠 스마트시티 적용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니 시민의 삶이 10~30%가량 개선됐다는 결과가 도출됐다”며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아닌 기존 도시 인프라 위에 ‘지능’ 만 입히는 소규모 투자로도 삶의 질이 개선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은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네번째 세션 ‘스마트시티와 에너지’ 주제 발표를 통해 “과거 하이테크 기업이 주도한 스마트시티 운동은 기술에 매몰돼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이런 반성하에 최근 시민의 삶에 집중하는 ‘스마트시티 2.0’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송 센터장은 서울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하고 MIT에서 항공우주학 박사학위를 받은 재생 에너지 및 클린테크 전문가다. 태양광, 풍력, 배터리 등 재생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한국과 아시아의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이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송 센터장은 이날 주제 발표에서 맥킨지 내부 연구를 바탕으로 10여년전 태동한 스마트시티 운동이 주목할만한 성과를 내놓지 못한 배경과 최근 스마트시티 관련 동향을 소개했다. 맥킨지는 효율적인 스마트시티 적용으로 도시의 형태와 규모에 상관 없이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을 기본으로 빌딩 자동화, 홈 인포메이션 기술을 활용하면 도시의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송 센터장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최적화와 시간별 전기 가격 차별화만으로도 에너지 소비량이 크게 줄었다”며 “특히 에너지 가격을 차별화하자 의사결정이 고도화돼 시민의 삶이 개선되고 행동양식이 변화한다는 점이 포착됐다”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2007년 무렵 처음 시작된 초기 스마트시티 개념을 ‘스마트시트 1.0’으로 정의한다. 송 센터장은 “기술은 시민 삶 개선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지만, 초기 스마트시티는 공공부문을 등한시해 하이테크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따랐다”며 “최근 조류인 스마트시티 2.0의 목표는 기술로 시민의 궁극적인 삶과 행동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스마트시티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도심 내 공공문제를 안전, 건강, 에너지, 물, 폐기물, 운송수단, 경제와 주거, 커뮤니티 등 8가지로 나눠 각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분석했다. 이어 도시의 8가지 분야가 변화함에 따라 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을 건강, 편리함, 안전, 삶의 비용, 일자리, 환경의 질, 커뮤니티 등 7가지 지표로 재분류했다.

송 센터장은 “세계 50개 도시를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에 따라 3 종류로 나눠 스마트시티 적용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니 시민의 삶이 10~30%가량 개선됐다는 결과가 도출됐다”며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아닌 기존 도시 인프라 위에 ‘지능’ 만 입히는 소규모 투자로도 삶의 질이 개선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태양광 기업들이 앞다퉈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있다.

블룸버그는 올해 세계 태양광 발전단지 건설 규모가 60기가와트(GW)에 근접하거나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원자력 발전소 건립 규모보다 3배 이상 많은 양이다.

2017년에 태양광의 그리드패리티(신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와 기존 화석 에너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균형점)가 올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는 가운데, 태양광에 대한 기업의 R&D 투자가 늘고 있다.

제주도에 설치돼 운영 중인 일반사업자의 태양광발전단지.

2017년은 그리드패리티 변곡점?...태양광 R&D 투자 늘리는 기업들

‘에너지혁명 2030’ 저자 토니세바는 지난 8일 조선비즈가 주최한 ‘2016 미래에너지포럼'에서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태양광 시장은 매년 41%씩 성장했다”며 “기술의 발전으로 가격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얻고 있는 가운데, 2017년에는 태양광 에너지 생산 단가가 기존 에너지 생산 단가와 같아지는 ‘그리드 패리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현 OCI 사장도 지난 13일 조선비즈와 인터뷰에서 “올해 태양광 설치 규모가 원자력 발전의 3배, 석탄발전의 1.5배 규모인 60GW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세계 시장이 이만큼 커졌다는 것 자체가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지금 태양광 산업의 문제는 기존 전력망과 전력 계통이 (에너지 변동성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태양광 발전과 보급을 위한 에너지 산업 정책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글로벌 태양광업체들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빅데이터 등에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태양광 업체 R&D 규모.

중국의 메이저 태양전지 모듈 제조업체인 잉리그린 에너지(Yingli Green Energy)는 지난해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4%인 6380만달러를 썼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연구개발비로 4830만달러를 사용해 세계 태양광 모듈 업체로는 두 번째로 많은 규모를 투자했다. 트리나솔라(3410만달러), JA솔라(2300만달러), 징코솔라(2220만달러) 등 중국업체의 투자도 뒤따랐다.

작년 초 독일 큐셀과 한화솔루원을 합병한 한화큐셀은 2014년(1380만달러)에 비해 R&D 투자 규모가 3배 넘게 늘었다. 현재 독일의 연구소에만 200여명의 연구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단일 연구소로는 최대 규모다.

차문환 한화큐셀코리아 대표는 “태양광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종합적인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태양광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과 배터리 융복합 기술 개발, 셀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태양광 판과 연결된 수력 펌프가 오스트레일리아의 농업 현장에 설치돼 있는 모습.

◆석유 메이저 기업도 탈()석유 몸부림...에너지신사업 투자 행렬 가속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를 비롯해 엑손모빌, 셸, BP, 토탈 등 세계 석유 메이저 기업들도 탈석유 흐름에 올라타고 있다.

아람코를 이끄는 무함마드 빈 살만 부왕세자는 아람코 주식을 상장하고, 이 자금을 바탕으로 석유 없는 경제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장기 경제 개혁 정책을 지난 4월 발표했다. ‘비전 2030’이라고 명명된 이 전략은 저유가가 장기화 된 가운데, ‘석유 중독'을 끊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있다.

유럽 최대 석유회사 셸은 지난해 영국 가스회사 BG그룹을 530억달러에 인수했다. 지난달엔 수소·바이오연료·풍력 사업을 전담하는 신에너지 사업부를 만들었다.

유럽 3위 석유회사인 토탈도 지난 5월 배터리 제조회사 샤프트를 11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토탈은 태양광·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를 샤프트가 제조한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모아놓았다가 공급하는 전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 1위 석유회사 엑손모빌은 대규모 인수합병(M&A)을 위한 3000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마련했다. BP는 '탈석유 전략'을 내세우고 대체에너지 사업부를 신설했다.

미국 GE는 지난달 사우디 정부와 항공·담수 사업에 10억달러, 에너지·해양 제조 시설에 4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약을 맺었다. 사우디의 산업과 디지털 분야의 ‘게임 체인저'가 되겠다고 공언했다.

☞키워드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와 기존 화석 에너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균형점. 최근 화석연료 고갈 문제와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대량생산과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이 생겨야하는데, 부품개발과 기술개발 등을 통해 생산원가가 낮아져 기존 화석에너지의 생산원가에 이르는 변곡점을 말한다. 국제유가가 상승할수록, 신재생에너지 관련 부품의 가격이 하락할수록 그리드패리티에 가깝게 도달할 수 있다.

왼쪽부터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이완근 신성솔라에너지 회장, 차문환 한화큐셀코리아 대표, 송락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본부장, 권순범 이큐브랩스 대표가 8일 서울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6 미래에너지 포럼’에 참석해 세번째 세션을 진행하고 있다.

“자원이 아닌 기술이 에너지가 되는 시대가 온다.”

조선비즈가 6월 8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2016 미래에너지 포럼’에서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시대가 오면 기술이 곧 에너지가 될 것”이라고 했다.

강승진 교수는 이날 ‘신재생에너지시대의 부흥’을 주제로 열린 세번째 세션에서 좌장을 맡았다. 이완근 신성솔라에너지 회장, 차문환 한화큐셀코리아 대표, 송락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본부장, 권순범 이큐브랩스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이완근 회장은 “세계 태양광 시장은 2009년 7.7GW에서 2016년 68GW로 급성장했다. 올해도 20% 이상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고 했다. 그는 이어 “태양광 발전은 온실가스 감축과 지구온난화의 가장 유력한 해결책으로 꼽힌다”고 했다.

한국수출입은행 조사 결과 태양광을 가장 많이 설치한 국가는 중국(18.63GW)이다. 일본(10.49GW)과 미국(9.38GW)이 나란히 2, 3위를 기록 중이다. 중국, 일본, 미국 등 3개국의 태양광 설치량이 전체 시장의 65.5%를 차지한다. 한국은 0.99GW로 세계 9위다.

이완근 회장은 “한국도 태양광 시장에서 많은 잠재력을 가진 국가다. ESS(에너지저장장치) 산업도 떠오르고 있고, 배터리 분야를 선도하는 업체들도 있다. 국가적 지원에 기업의 노력이 더해지면 더 높은 위치로 발돋움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완근 회장이 8일 열린 ‘2016 미래에너지포럼’에서 태양광 사업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이완근 회장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에너지 안보, 친환경,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검토해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며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태양광 산업을 발전시키려면 가격 리스크부터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차문환 대표는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려면 은행권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해야 한다. 은행 입장에서는 태양광 사업으로 현금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대출 규모를 따질 수 없다. 결국 파이낸싱 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프로젝트가 어렵게 된다”고 했다.

그는 문제 원인으로 전력수급계약(PPA) 시장 가격 연동제를 지목했다.

차문환 대표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등 태양광 산업 순위권에 없는 국가들도 고정된 가격의 PPA를 체결하고 있다. 한국도 장기 PPA를 해야 양질의 파이낸싱이 가능해진다. 그렇게 되면 프로젝트가 경쟁력을 가지고 원가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차문환 대표가 8일 ‘2016 미래에너지포럼’에서 태양광 발전소 파이낸싱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송락현 본부장은 한국 신재생에너지 보급율이 2014년 4.08% 수준으로 저조하다고 평가했다. 2030년까지 보급 목표를 11%(1차 에너지 기준)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송락현 본부장은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낮은 가격과 높은 효율을 갖춘 차세대 기술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날 세션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도 등장했다.

권순범 대표는 “태양광 에너지 산업이 발전하면서 가격이 저렴해졌다. 이큐브랩스는 태양광 에너지 산업 발전의 수혜를 입은 벤처”라고 했다.

이큐브랩스는 태양광 쓰레기통을 제작하는 업체다. 태양광을 이용한 배터리를 이용해 쓰레기 부피를 최대 8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현재 21개국에 수출을 하고 있고, 매년 10배씩 성장하고 있다.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