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프로필

  • 2010.04 - 현재
    •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2004.09 - 2005.08
    •  Director, Japanese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 2002.09 - 2010.03
    •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1999.04 - 2002.08
    •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ciences, University of Tsukuba, Japan
  • 1996.04 - 1999.03
    • Associate Professor, Nagoya University of Commerce, Japan Lecturer, Asia University & Musashi University & Daito Bunka University, Japan

과거 참여 이력

  • 2017 유통산업포럼 세션
    일본 사례로 본 불황기 소비 변화와 극복 전략
    - 일본 주요 기업들의 불황기 극복 사례

2017 유통산업포럼 세션 1 -일본 사례로 본 불황기 소비 변화와 극복 전략
- 일본 주요 기업들의 불황기 극복 사례

해시드 대표


프로필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특수목적 고등학교인 서울과학고등학교를 조기 졸업하고, 이후 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했다. 대학 졸업 후 10여 년간 IT 스타트업 분야에서 일했다. 그 중 온라인 인공지능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회사인 노리(Knowre)의 CPO(Chief Product Officer)로 5년 동안 활약하며 창업가의 능력을 입증하였다. 이외에도 소셜 데이트 서비스인 '정오의 데이트'를 만들어 운영했고, '아만다'라는 서비스에 투자하며 서비스 기획에도 도움을 줬다.

2014년 서울디지털포럼 행사에서 발표한 김서준 대표는 코빗의 유영석 대표를 만나 암호화폐가 거래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당시에는 블록체인에 큰 가치를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2015년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내방했을 때 콜버스의 대표인 박병종 대표와 스마트 계약에 대해 이야기하며 블록체인 산업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6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스타트업에 엔젤 투자를 하면서 이더리움을 알게 되었고 그저 흥미로운 IT 기업쯤이라고 생각하며, 투자개념으로 토큰을 샀다. 이후로 암호화폐에 광풍이 불었고 이런 과정을 겪으며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발행하고 경제를 만드는 토큰 이코노미가 혁신적인 세상을 만들 수 있겠다는 신념을 갖게 되었다.[1]

결국 김서준은 2017년 블록체인 분야 전문 투자업체인 해시드(hashed)를 설립하게 되었다. 회사를 설립한 목적은 현재 주식회사 위주의 자본주의 시스템의 한계점을 블록체인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400년 전 최초의 주식회사인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설립될 때부터 지금까지 주식회사 모델이 자본주의 시스템을 지배해왔고, 이는 매우 성공적으로 정착했지만, 특정 목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주식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해 사업을 하다 보니 어떻게든 많은 마진을 남기려 하고 그렇게 생긴 이익 대다수를 몇몇 대주주들이 흡수해 버린다는 한계점을 지적했다. 김서준 대표는 이와 같은 주식회사의 약점을 블록체인으로 극복할 수 있다며, 배차 서비스인 우버를 예로 설명했다. 가령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D우버, 즉 탈중앙화된 우버가 있다고 할 때, 승객과 운전사는 D우버를 이용한 대가로 토큰을 주고받고 이 토큰은 다음에 D우버를 이용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고 현금으로 환전할 수도 있다. D우버가 인기를 끌어 기업이 크게 성장하게 되면 승객이나 운전사는 보유하고 있는 토큰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초기에 환전한 사람보다 훨씬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이 김서준 대표가 말하는 주식회사 모델의 결점을 보완해 나갈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경제 모델인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ics)’이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그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성공의 과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이 만들어져 주식회사 모델의 결점을 보완한다.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

리얼리티 플랙션 대표


프로필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ICO 허용해야 하나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ICO 허용해야 하나

직토 CEO


프로필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ICO 허용해야 하나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ICO 허용해야 하나

한국투자파트너스 이사


프로필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ICO 허용해야 하나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핀테크 생태계 조성과 규제완화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ICO 허용해야 하나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 핀테크 생태계 조성과 규제완화

DarcMatter CEO


프로필

2014.11~현재 글로벌 대체투자 플랫폼 스타트업 '다크메터(DarcMatter)'- 설립 및 CEO

2012.09~현재 한인 창업 협회(Korean Startups & Entrepreneurs(KSE)) -의장(President)

2013.06~2015.03 온라인 투자 플랫폼 스타트업 '리턴 온 차지(Return on Charge)'- 설립 및 CEO

2010.04~2013.05 금융그룹 BNP 파리바 (BNP Paribas) - 증권 인수업자(Investment Banker)

2004~2008 빙엄턴 대학교 금융공학 전공 학사 졸업(Bachelor's degree, Financial Engineering)

이상화(Sang. H. Lee) 대표는 세계 각국의 대체투자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 운용 시 보다 손쉬운 대체투자를 제안하는 대체투자 핀테크 플랫폼 기업 ‘다크매터(DarcMatter)’의 창립자 겸 CEO다. 

 뉴욕주립대 빙엄턴 캠퍼스에서 금융공학을 전공한 이상화 대표는 유럽 대형 투자은행인 BNP 파리바에서 투자 은행가로 근무했으며, 당시 최고 글로벌 인재(Top Global Talent)로 인정 받아 집행위원회의 은행 차원 전략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상화 대표는 2013년에는 온라인 투자 플랫폼 스타트업 '리턴 온 차지(Return on Charge)'의 CEO로 기업가의 길에 들어섰다. 이 때부터 핀테크 사업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며 '뉴욕시의 주목 할 만한 30대 이하 기업가 (Under30 CEO Entrepreneur to Watch in New York City)' 및 '좋은 변화를 만드는 기업가 100인 (Good 100 Changemaker)' 등에 선정되었다. 

 이상화 대표는 Forbes, Bloomberg Radio, Private Wealth Magazine, Entrepreneur Magazine, CNBC, FIN alternatives 등 다양한 현지 매체에 실렸으며, 직접 매체에 기고를 진행하는 등 활발한 미디어 접촉의 경험이 있다. 또한 UN, International CES, Foreign Relations Council, Money Conf 및 Wealth Management Insights Summit와 같은 곳에서 다양한 주요 재무 및 투자자 중심의 컨퍼런스 강연에 나서는 등 금융 업계의 새로운 리더로 인정받고 있다.

이상화 대표는 최근 다크매터가 핀테크 업계의 리딩 기업으로 전 세계적에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수 많은 대회와 행사에 참여하며 회사를 이끌고 있다. 다크매터는 2017년 핀테크 컨퍼런스 ‘Next Money 글로벌 핀테크 파이널 위너’에서 ‘가장 좋은 성장 단계를 보여주는 핀테크 기업’으로, ‘HFM 테크놀로지 위너’에서는 ‘헤지 펀드를 위한 베스트 핀테크 솔루션’으로 선정된 바 있다.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ICO 허용해야 하나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ICO 허용해야 하나

경희대 교수


프로필

한호현은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컴퓨터공학과 교수이다. 2017년 JTBC의 손석희 사장이 주최하는 암호화폐 토론회에 참석하여, 유시민, 정재승, 김진화와 함께 토론을 벌였다. 이때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2018년 PUF(물리적 복제방지기술) 기반의 퓨어체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컬러코인 개발에 참여하였다.

한국전자서명포럼 의장

한호현 교수는 한국전자서명포럼 의장이다. 새로 의장직을 맡으면서 이전명칭 한국 PKI포럼에서 "전자서명"이라는 틀로 소비자에게 더 다가서고 산업적인 활동을 더 강화하자는 의미로 한국전자서명포럼으로 조직 명칭을 바꾸었다. 한국전자서명포럼은 전자서명 안전성 강화, 이용환경 개선 활동을 하고있다. 과거에 불편했던 인증기술을 FIDO 생체인증, 클라우드 전자서명 등 간편한 인증으로 시간장소 불문 사용할 수 있게 기술확산을 도모하고있다.

퓨어체인 기술

블록체인 기술은 오프라인 거래에서 네트워크 상 참가자 과반의 거래 인증 획득 시간이 필요해 실시간 거래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반면 퓨어체인은 PUF(물리복제방지기능)를 통해 거래 정보나 사용자 정보 탈취가 불가능하게 만들어 블록체인에서 어려웠던 오프라인 거래와 실시간 거래 확인이 가능하게 하고 다자간 거래나 동시다발적 대량 거래에서도 사용할수 있고 하드웨어 형태가 아닌 클라우드 형태로도 사용할수있어 중앙 화폐는 물론 대용량 정보 교환에도 쓸수있게 하였다.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4

ICO 허용해야 하나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ICO 허용해야 하나

서울대 객원교수


프로필

학력

  • 미국 노스웨스턴대 경영학 박사 Ph.D (Finance)

직업

  • 교육자(교수), 전문직업인(연구원)

소속

    • 금융감독원 원장
    • 금융감독원 원장소속[前] 한국금융학회 회장

과거 참여 이력

  •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금융산업별 위기와 기회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2 - 금융산업별 위기와 기회

코인플러그 대표


프로필

  • 2018
    • ㈜코인플러그가 호주 지식 재산청이 선정한 세계 최고 혁신 기업 1위

  • 2013
    • 블록체인 기술 전문 핀테크 기업인 코인플러그 창업

  • 현대전자 이동통신 연구소 SW 개발 팀장

  • CISCO SYSTEMS 개발 팀장

  •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으로 여러 기업에서 기술 이사와 CTO로 활동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
2016 스마트클라우드쇼 오픈토크 금융 빅뱅 - 블록체인이 만드는 금융 기적

금융감독원 핀테크지원실장


프로필

과거 참여 이력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