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기술연구소 기반기술본부장


프로필

  • 2023 ~ 현재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기반기술본부장
    • 한국우주안보학회 부회장

  • 2021 ~ 2023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보안시스템본부장

  • 2013 ~ 2021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보안시스템본부 응용기술실장

과거 참여 이력

  • 2024 사이버보안콘퍼런스 강연
    우주 사이버 보안 이슈 및 대책

국가기술표준원 자율차 국가표준코디네이터


프로필

  • 2018 ~ 현재
    • 국가기술표준원 코디네이터 사무국 자율차 국가표준 코디네이터

  • 2022 ~ 현재
    • 한국산업지능화 협회 전문위원

  • 1992 ~ 202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재직

  • 2011 ~ 2017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본부장

  • 1985 ~ 1990
    • 삼성 SDI 주임연구원

과거 참여 이력

  • 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 발제 3
    미래차 중점 표준화 계획

  • 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 질의응답 및 자유 토론

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 발제 3- 미래차 중점 표준화 계획

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 질의응답 및 자유 토론

다이마루 마츠자카야 백화점 경영전략본부장·리스크 관리 담당 상무


프로필

  • 2024 ~ 현재
    • 다이마루 마츠자카야 백화점 경영전략본부장
    • 다이마루 마츠자카야 백화점 리스크 관리 담당 상무

  • 2023
    • 다이마루 백화점 도쿄점장

과거 참여 이력

  • 2024 유통산업포럼 채널 혁신
    400년 역사 다이마루 마츠자카야 백화점의 미래비전

  • 2024 유통산업포럼 세션 2
    일본 브랜드 혁신 전략

무신사 글로벌본부장·이사


프로필

  • 현재
    • 무신사 글로벌본부장·이사

  • 과거
    • 맥킨지 소비재 유통 부문 아시아 리더·Associate Partner

과거 참여 이력

  • 2024 유통산업포럼 넥스트 한류
    K패션의 글로벌 진출

신한금융그룹 슈퍼SOL플랫폼본부장


프로필

  • 2024 ~ 현재
    • 신한금융그룹 슈퍼SOL플랫폼본부장(4社 겸직)

  • 2023
    • 신한금융그룹 One플랫폼본부장(4社 겸직)

  • 2022
    • 신한금융그룹 Project-S추진단장(TF)

  • 2021 ~ 2022
    • 신한카드 전략기획본부장

  • 2019 ~ 2020
    • 신한카드 전략기획팀 부장

  • 2018
    • 신한카드 조직문화팀 부장

  • 2017
    • 신한카드 디지털혁신팀장

과거 참여 이력

  • 2024 미래금융포럼 강연
    금융혁신의 미래 : 슈퍼앱과 슈퍼SOL의 탄생

2024 미래금융포럼 강연2 - 금융혁신의 미래 : 슈퍼앱과 슈퍼SOL의 탄생

유한양행 임상의학본부장


프로필

  • 2018 ~ 현재
    • 유한양행 임상의학본부장

  • 2017 ~ 2018
    •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심사위원

  • 2014 ~ 2017
    • ㈜한독 메디컬 디렉터

  • 2009 ~ 2014
    • 한국얀센 메디컬 디렉터

  • 2002 ~ 2009
    • 한독약품 메디컬 디렉터

  • 1997 ~ 2002
    • 가톨릭중앙의료원 심장내과 소속

  • 1993 ~ 1997
    • 가톨릭중앙의료원 내과 소속

과거 참여 이력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강연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의 글로벌 임상 전략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강연 2 -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의 글로벌 임상 전략

세일즈포스 클라우드세일즈 영업본부장


프로필

  • 2015 ~ 현재
    • 세일즈포스 클라우드세일즈 영업본부장

  • 2010 ~ 2014
    • EMC 아이실론 스토리지 사업부장

  • 1998 ~ 2010
    • IBM 글로벌테크놀로지 서비스·네트워크솔루션서비스 리더

과거 참여 이력

  •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강연
    세일즈포스 아인슈타인 GPT를 통한 고객경험혁신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강연 6 - 세일즈포스 아인슈타인 GPT를 통한 고객경험혁신

24일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관계 당국, 회계업계, 학계, 비영리 부문 전문가들이 모여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패널 참석자들은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지난해부터 일정 규모 이상 비영리법인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주기적 지정 감사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대체로 동의했다. 다만 현재 제도가 시행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만큼, 이해 관계자 간 협의를 통해 다양한 보완 방안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날 패널 토론엔 김태동 차의과학대학 교수를 좌장으로,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본부장,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이 배석했다.

조선비즈가 24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패널 토의 참석자들이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김태동 차의과학대학 교수,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 윤승준 동현세무회계 대표, 최호윤 회계법인 더함 대표,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본부장,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 /조선비즈
조선비즈가 24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패널 토의 참석자들이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김태동 차의과학대학 교수,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 윤승준 동현세무회계 대표, 최호윤 회계법인 더함 대표,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본부장,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 /조선비즈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는 비영리법인의 회계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비영리법인의 회계 투명성 문제가 불거지면 기부자가 줄어들고, 선한 의도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다른 공익법인들에까지 피해가 간다”고 했다. 부정 동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기적 지정 감사제를 꼽았다. 그러면서 비영리 부문의 지배구조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여러 기부자가 비영리법인의 지배구조 폐쇄성을 문제 삼고 있다”면서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고 이를 이해관계자들이 수시로 모니터링(감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24일 조선비즈가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이 발언하고 있다./조선비즈
24일 조선비즈가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이 발언하고 있다./조선비즈

비영리 부문을 대표해 의견을 개진한 참석자들은 회계 투명성 제고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제도 시행 이후 감사 비용 부담이 크게 늘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 외부 감사인의 전문성 부족도 지적했다.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은 주기적 지정 감사제 도입 과정에서 사립학교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사립대학은 여러 위원회를 통해 결산하고, 영리법인에 비해 훨씬 까다로운 기준으로 교육부와 감사원의 회계 감사를 받고 있었다”면서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며 내부 회계관리 통제 시스템도 갖췄는데도 주기적 지정 감사제 도입 대상이 됐다”고 했다.

정 부장은 주기적 지정 감사제 도입 이후 감사인 보수가 2배 이상 늘어 사학법인의 부담이 극심해졌다고 했다. 영리법인과 달리 비영리법인은 비용 증가분을 상품 등에 전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교육부 재정 지원뿐 아니라, 한국공인회계사회가 합리적인 표준 감사 시간을 산정해 사학법인이 효율적으로 외부 감사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본부장과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은 비영리법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회계 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본부장은 “외부 감사인이 법령 위반이나 공시 의무에 대한 문제를 발견하는 건수는 많지 않고, 대부분 재무제표의 단순 오류만 잡아내고 있다”고 했다. 교육부가 감사가 완료된 감사 보고서를 지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한다. 그는 “사학법인의 회계 특수성에 대한 감사인의 전문성이나 인지가 부족해 일어난 현상으로 판단한다”면서 “감사인 역량을 높일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 실장도 비영리 부문에 특화된 전문성 있는 감사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기적 감사 지정을 받더라도 실제 사회복지 환경과 구조, 후원금·출연 재산의 사용처 등에 대해 이해하는 감사인이 배정돼야 비영리법인의 회계 기준과 체계를 완성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실제 비영리 부문 감사 실무 교육을 받았거나, 사회복지 법인의 회계 경험이 있는 감사인이 배정되길 바란다고 했다.

주기적 지정 감사제 적용 대상이 아닌 비영리법인에 대해서도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에 따르면, 현재 주기적 지정 감사 대상이 되는 기업은 200여개로, 종교 단체 등을 제외한 전체 비영리법인의 1%에 불과하다. 변 센터장은 “나머지 99% 법인의 회계 책임성을 높이는 방안도 생각해야 할 때”라고 했다. 그는 “이들 법인에 강제적으로 재무제표 공시를 요구하는 제도가 올해부터 시행이 됐는데,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와 함께 외부 감사 적용 기업을 확대하는 방안이 적절할 것”이라고 했다.

24일 조선비즈 주최로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이 발언하고 있다./조선비즈
24일 조선비즈 주최로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이 발언하고 있다./조선비즈

관계당국은 주기적 감사 지정제의 도입 취지가 현장에서 제대로 나타나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했다. 특히 제도 적용 대상이 사학법인에 지나치게 집중된 것과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은 주기적 감사 지정제 대상이 되는 공익법인은 전체 공익법인의 1.7%에 불과한 반면, 학교 법인은 전체 학교 법인의 67%에 이른다고 했다. “사립학교를 비리 집단이라 매도하고 과하게 지정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고 인정했다. 회계법인의 조직적 가격 담합이 의심되는 사례도 일부 발견됐다고 한다. 그는 “제도 대상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 따라 지정 감사 대상을 줄이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은 “아직 제도가 시행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아 계속 제도 보완과 발전이 필요하다”면서 “주기적 감사제 대상 선정 기준을 현행 자산 규모뿐 아니라 수익 금액 등 다른 요소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도 고민해 볼 것”이라고 했다.

패널 토의의 좌장을 맡은 김태동 차의과학대학교 교수는 이날 토의에 대해 “비영리법인의 회계 투명성이라는 주제가 다소 생소한데도, 패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전해준 덕분에 재미있는 시간이 됐다”면서 “이날 토론이 향후 비영리 부문의 사회적 신뢰를 높여 건전한 기부 문화 확산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현진 기자

퓨리오사AI 상임고문


프로필

  • 2022 ~ 현재
    • 퓨리오사AI 상임고문

  • 2021 ~ 현재
    • Cambium Capital Partners 운영파트너

  • 2019 ~ 2022
    • 맥킨지앤컴퍼니 상임고문

  • 2019 ~ 2021
    • Groq 제품·마케팅·소프트웨어 부문 부사장

  • 1989 ~ 2019
    • 인텔 NVM솔루션그룹 부사장
    • 인텔 아톰SoC개발그룹 본부장
    • 인텔 맞춤형 SoC & DTV 부문 부장
    • 인텔 디지털가전플랫폼마케팅 부문 디렉터
    • 인텔 클라이언트 칩셋 마케팅 디렉터
    • 인텔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 현장 영업 부문 담당

과거 참여 이력

  •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강연
    하드웨어를 능가한 AI, 어디로 향할 것인가?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강연 1 - 하드웨어를 능가한 AI, 어디로 향할 것인가?

한국사학진흥재단 본부장


프로필

  • 2023 ~ 현재
    • 한국사학진흥재단 고등교육재정회계본부 본부장
  • 2023
    • 한국전문대학교협의회 기관평가인증 평가위원
  • 2022
    • 한국사학진흥재단 기획조정부장
  • 2021
    • 한국사학진흥재단 대학경영지원부장
  • 2019
    • 한국교육개발원 대학 기본역량진단 컨설팅 위원

과거 참여 이력

  •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 패널 토론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