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비즈, 미래금융포럼 개최
김병환 금융위원장 축사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29일 “빠른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경제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로 넘어왔고, 이제 피지컬 AI와 같이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내부관리, 리스크 관리, 대고객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5 미래금융포럼’ 축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은 오래전부터 데이터에 기반해 성장한 대표적인 분야다“라며 ”마이데이터 산업도 금융 분야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빠르게 성장했다”고 했다. 이어 금융기관의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는 ‘망분리’ 규제 개선을 언급하며 “이후 금융회사들이 빠르게 AI 기반 혁신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AI 혁신이 지속가능하려면 금융 시스템 안정이 병행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우리는 지난해 8월 초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급격한 변동을 목격했다”며 “사이버 공격 등에 따른 정보 유출이나 시스템 마비의 영향은 이전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금융 시장은 더 빨리 움직일 것이며, 모델을 활용한 알고리즘 거래 등을 통해 변동폭은 더 커질 것”이라며 “AI 시대에 예상되는 시스템 리스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금융 환경 속에서 혁신과 안정이 균형있게 달성될 수 있도록 늘 고민하겠다”고 했다.
#2025 미래금융포럼
=김보연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29일 인공지능(AI)이 미래금융의 핵심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김 후보와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AI, 빅데이터 그리고 미래금융’이라는 주제로 열린 ‘2025 미래금융포럼’ 행사에 축사를 전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후보는 “미래금융 산업 전반이 AI와 빅데이터 기반의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며 “자산 및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기 대응 역량이 금융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경제가 이러한 기술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후보 역시 “AI와 빅데이터는 미래금융의 운명을 좌우할 열쇠”라고 평가했다. 또한 “금융은 이제 단순한 자산 이동을 넘어 데이터 알고리즘을 통해 사람의 삶에 더 촘촘히 관여하게끔 진화하는 중이다”라고 전했다. 이 후보는 “AI와 빅데이터는 더 정밀한 리스크 관리로 더 많은 사람들을 포용하는 금융을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2025 미래금융포럼
신한은행 AI 연구소장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 금융고객팀 총괄
토스 신용데이터사업본부 팀리더
토스뱅크 대표이사
롯데웰푸드 푸드사업부 대표
한화생명보험 DataLAB 팀장
뱅크샐러드 디자인 총괄이사
통신대안평가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