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THE ESG 포럼’ 개최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이사가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조선비즈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이사가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조선비즈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한국공인회계사회가 후원한 ‘2024 THE ESG 포럼’이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포럼은 ‘ESG 재무제표도 바뀌어야 한다’라는 주제로 열렸다. 2026년 이후 본격화할 ESG 공시 의무를 앞두고 ESG 경영이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그에 따른 재무적 영향은 무엇인지를 짚어보는 자리다.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이사는 개회사에서 “ESG가 기업 운영 전반에 걸쳐 반영돼야 하는 경영 기준이 된 만큼 재무제표 역시 새롭게 정의되고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은 환영사에서 “한국공인회계사회도 ESG 관련 재무제표 공시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여당 간사인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영상축사를 통해 “기업이 ESG의 가치를 재무제표에 올바르게 담아내고, 그에 따른 경영 성과를 누릴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주요 인사와 강연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조선비즈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주요 인사와 강연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조선비즈

포럼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주제발표는 송민섭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가 맡는다. 서 교수는 우선 기후협약 선언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한다. 이어 해외 감독당국의 기후 관련 공시 평가 사례와 시사점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 서 교수의 뒤를 이어 무대에 오르는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는 주요 글로벌 기업의 기후 위험 관련 재무보고 공시 사례를 전할 예정이다.

두 사람의 주제발표가 끝난 후에는 각 분야 전문가의 패널 토론이 이어진다.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고,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가 다양한 견해를 나눈다.

#2024 ESG

= 전준범 기자

국내 회계 전문가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향후 재무제표에 반영될 것이란 전망에 의견을 같이했다. 다만 아직은 출발 단계이고 갈 길이 멀기에 금융당국과 회계업계, 학계, 기업이 합심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12월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패널 토론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 /조선비즈
12월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패널 토론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 /조선비즈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는 금융당국과 회계업계, 학계, 기업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2026년 이후 본격화할 ESG 공시에 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ESG 경영이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그에 따른 재무적 영향은 무엇인지를 짚었다.

이날 패널 토론에는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가 참여했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은 금융업 관점에서 ESG 재무제표가 바뀌어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실무자 입장에서 재무제표 작성, 즉 회계 처리를 하려면 측정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유관기관이 이에 관한 연구에 나서주기를 요청했다.

이동익 부장은 “중요도와 기업의 비용 유입 관점도 동시에 고려돼야 하기에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며 “재무제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회사부터 차례대로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기업으로선 외부 평가가 가장 신경 쓰일 수밖에 없는데, 방법과 기준이 일관되고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는 “기후변화처럼 회계에서 외부효과로 인식했던 걸 내부 기회비용으로 전환해 나가는 단계”라면서 “결국 기업이 발생시킨 탄소 등이 미래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허규만 파트너는 “아직까진 재무제표를 감사할 때 ESG 부분에 대한 세밀한 감사가 체득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회계업계에선 지속가능성 관련 인증과 방법론을 꾸준히 개발하고 이와 관련한 내부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이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비즈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이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비즈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ESG의 재무제표 반영에 관한 ‘파일럿 테스트’(시범 운영)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권 교수는 “재무제표 주석에 기후변화를 언급하는 식으로 ESG 공시를 선제적으로 조금씩 적용하면 기업은 어느 부분이 힘든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른 투자자와 기업이 ESG 공시를 어떻게 하는지 비교하고 대책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했다.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은 “지속가능성 기준 관련해선 공개 초안이 발표됐고, 200여개의 의견을 수렴해 확정 기준서에 대한 제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아직까진 전통적인 회계 기준과 지속가능성 기준이 구분되다 보니 ESG 관련 공시가 활발하진 않은 것 같다”고 했다. 이 상임위원은 “앞으로 더 많은 의견을 듣고, 반영해 나가겠다”고 했다.

각계 제안을 들은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은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중장기적으로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한국회계기준원 등과 협의해 (ESG가) 재무제표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지원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2024 ESG

= 정민하, 이영준, 이호준, 현정민 기자

조선비즈 ‘THE ESG 포럼’ 성황리 개최

환경·사회·지배구조(ESG)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기업이 늘고 있지만, 그 성과를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지를 두고선 의견이 분분하다. 정량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적지 않아서다. 동시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돌아오면서 ESG 공시를 의무화하려는 움직임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한국공인회계사회가 후원한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회계 전문가들은 큰 줄기를 따라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전문가들은 ESG 공시 의무화는 결국 도입될 것이고, ESG 관련 비용과 성과를 적극 반영하는 기업만이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주요 인사와 강연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선비즈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주요 인사와 강연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선비즈

올해 4회째인 이번 포럼은 ‘ESG 재무제표도 바뀌어야 한다’라는 주제로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렸다. 조선비즈는 2026년 이후 본격화할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ESG 경영이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등을 짚어보고자 이날 포럼을 마련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송민섭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ESG와 관련한 핵심 의제는 기후와 공시 의무화라고 진단했다. 정책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에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ESG 공시를 토대로 시장의 신뢰성도 마련하려고 한다는 취지다.

문제는 여전히 ESG 관련 고민이 정성적 부분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송 연구원은 “기업의 ESG 활동을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지 요구하기보다, ESG를 재무제표에 반영하기 위해 기업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유럽증권시장감독청(ESMA)과 영국재무보고위원회(FRC) 등 ESG 공시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감독기관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대비할 것을 권했다. 송 교수는 그러면서 “새로운 기술을 빨리 끌어올리려는 정책 방향에 발맞춰 기업이 기회를 잡아야 하고, 이때 ESG 공시 정보가 상당히 중요할 것“이라고 했다.

송민섭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가 4일 조선비즈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4 THE ESG포럼’에서 ‘감독당국의 기후관련 공시 평가 해외사례와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조선비즈
송민섭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가 4일 조선비즈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4 THE ESG포럼’에서 ‘감독당국의 기후관련 공시 평가 해외사례와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조선비즈

두 번째 발표자인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는 기업이 정확한 비용을 평가하기 위해서라도 ESG 활동을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유럽배출가스기준 유로7 적용에 따라 디젤 차량은 설 자리가 사라졌다. 완성차 기업 르노는 이를 고려해 기존 디젤 차량 생산 설비도 감가상각 정도와 전기차 밸류체인(Value Chain·가치사슬) 계약 사항을 재무제표에 담았다.

이 교수는 “환경 등 ESG와 관련한 비용을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은 채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하면 굉장한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며 “유럽 국가들이 기후 관련 이슈를 재무제표에 적극 반영하고, 수출 기업에 대한 제재도 고려하는 만큼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한국도 현재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을 마련하고 후속 작업을 진행 중이다. 관련 공시 의무화 시기는 ’2026년 이후’로 불명확하다. 이 교수는 “유럽 지역에선 에너지와 광물, 운송 분야 등에서 이미 더 높은 수준의 ESG 공시를 하고 있다“며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의무화 시점을 기다리기보단 미리 준비할 것을 권했다.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4 THE ESG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조선비즈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4 THE ESG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조선비즈

이날 패널 토론에 참석한 관계 당국과 회계업계, 학계 전문가들도 ESG 경영을 재무제표에 반영하기 위해 미리 준비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ESG 공시가 의무화되면 기업과 당국 모두 혼란을 겪을 수 있다”며 “사전 적용하면서 기업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공시할지, 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도 “ESG 공시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기업도 일반적 내용은 이해하지만, 구체적인 부문에서 헛갈릴 수 있는 지점이 많다”며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실무 가이드라인과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길 바란다”고 했다.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는 “아직 ESG 관련 세밀한 감사가 체득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회계업계에선 지속가능성 관련 인증과 방법론을 꾸준히 개발하고 내부 교육도 진행 중이다”라고 했다.

관계 기관들은 지속가능성 기준 마련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은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중장기적으로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한국회계기준원 등과 협의해 (ESG가) 재무제표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지원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은 “전통적 회계 기준과 지속가능성 기준이 나뉘어있다 보니 ESG 관련 공시가 활발하진 않은 것 같다”며 “더 많이 의견을 듣고 지속가능성 기준 등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4 THE ESG 포럼'에서 패널 토론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조선비즈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4 THE ESG 포럼'에서 패널 토론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조선비즈

#2024 ESG

= 권오은 기자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


프로필

  • 현재
    •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
    •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ESG 공시인증 TF리더
    • 한국공인회계사회 ESG 인증소위원회 리더

  • 과거
    • 한국회계학회 ESG 분과위원회 위원

저서

  • 『탄소중립은 가능한가, 박영사』, 2024

과거 참여 이력

  • 2024 THE ESG포럼 패널 토론

딜로이트 컨설팅 파트너


프로필

  • 2010 ~ 현재
    • 딜로이트 컨설팅 파트너
    • 컨설팅 TMT 산업 리더
    • 딜로이트그룹 TME 섹터 리더

  • 2009 ~ 2010
    • Booz & Company 어소시에이트

  • 2004 ~ 2009
    • Monitor Group 시니어 컨설턴트

과거 참여 이력

  • 2024 글로벌경제투자포럼 강연
    고령화 사회와 신규 사업 기회
  • 2024 글로벌경제투자포럼 패널토의

2024 글로벌경제·투자포럼 강연 - 고령화 사회와 신규 사업 기회

mBolden 컨설팅 CEO


프로필

  • 2023 ~ 현재
    • mBolden 컨설팅 CEO
    • Be Uninterrupted 공동창립자·최고프로덕트책임자(CPO)

  • 2021 ~ 2023
    • 월마트 캐나다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 부사장

  • 2019 ~ 2021
    • 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 조직유효 부문헤드·전역 디렉터

  • 2011 ~ 2019
    • 딜로이트 인적자원컨설팅 부문 매니저·비서실장 등 관리직 역임

과거 참여 이력

  • 2024 유통산업포럼 기조강연
    AI의 도입: 유통의 미래를 그려나가는 월마트의 AI 혁신전략

  • 2024 유통산업포럼 세션 1
    AI, 디지털 전환, 혁신

2024 유통산업포럼 기조강연 - AI의 도입: 유통의 미래를 그려나가는 월마트의 AI 혁신전략

토스뱅크 전략개발팀 실장


프로필

  • 2020 ~ 현재
    • 토스뱅크 전략개발팀 실장

  • 2016 ~ 2020
    • 딜로이트컨설팅 금융전략컨설팅 컨설턴트

과거 참여 이력

  • 2023 미래금융포럼 패널토의
    인터넷전문은행 5년을 짚다

2023 미래금융포럼 패널토의 1 - 인터넷 전문 은행 5년을 짚다

딜로이트 부동산리테일 전무


프로필

(현)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재무자문본부 부동산인프라자문그룹 전무

(전) Thomas Consultants AP, President & CEO

부동산 개발사업 분야 25년 경력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마케팅 전공

미국 Pratt Institute 실내건축 전공

과거 참여 이력

  • 2021 유통산업포럼 기조연설
    뉴노멀 시대에 디지털 기반 성장 전략 및 고객 경험
  • 2020 유통산업포럼 대담
    코로나 이후 유통산업 활성화 방안
  • 2019 유통산업포럼 대담
    가상현실(VR)이 바꾸는 오프라인 매장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 재무자문본부 리테일그룹 전무


프로필

소비자(Consumer) 부문의 산업 리더를 맡고 있으며, 재무자문(Financial Advisory)본부에서 Retail Group을 이끌고 있습니다. 유통산업 및 복합시설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자문 업무를 지난 25년간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 개발전략, 사업타당성, 사업구조, 자산 매입/매각 등의 업무 및 유통산업 및 관련 부문의 사업구조조정 및 신규사업 진출전략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과거 참여 이력

  • 2021 유통산업포럼 기조연설
    뉴노멀 시대에 디지털 기반 성장 전략 및 고객 경험
  • 2020 유통산업포럼 대담
    코로나 이후 유통산업 활성화 방안
  • 2019 유통산업포럼 대담
    가상현실(VR)이 바꾸는 오프라인 매장

2021 유통산업포럼 기조연설 3 - 뉴노멀 시대에 디지털 기반 성장 전략 및 고객 경험_1부
2021 유통산업포럼 기조연설 3 - 뉴노멀 시대에 디지털 기반 성장 전략 및 고객 경험_2부
2020 유통산업포럼 대담 - 코로나 사태 속 대형마트의 대응 전략 _1부
2020 유통산업포럼 대담 - 코로나 사태 속 대형마트의 대응 전략 _2부
2020 유통산업포럼 대담 - 코로나 사태 속 대형마트의 대응 전략 _3부
2020 유통산업포럼 대담 - 코로나 사태 속 대형마트의 대응 전략 _4부
2019 유통산업포럼 대담 - 가상현실(VR)이 바꾸는 오프라인 매장

금융평론가·미래학자


프로필

  • 현재
    • 금융평론가·미래학자

  • 2020 ~ 현재
    • The Futurists Network 창립자·CEO

  • 2016 ~ 현재
    • Provoke Management 창립자

  • 2010 ~ 현재
    • Moven 창립자·이사회 어드바이저

  • 2009 ~ 현재
    • Provoke.fm Media 소속 작가·라디오 호스트

  • 2002 ~ 현재
    • User Strategy CEO

  • 2000 ~ 2002
    • Modem Media 지역 매니징 디렉터

  • 1997 ~ 2000
    • 딜로이트 컨설팅 E-Business 디렉터

저서

  • 『테크노소셜리즘』, 2022

  • 『뱅크』 시리즈, 2011 ~ 2020

  • 『증강현실』, 2016

  • 『핀테크 전쟁』, 2015

과거 참여 이력

  • 2024 미래금융포럼 기조연설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 AI 서비스와 디지털 혁신은 누가 이끄는가
  • 2017 미래금융포럼 기조연설
    Bank 4.0 브랫 킹에게 묻는다, 금융의 미래

2024 미래금융포럼 기조연설 -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 AI 서비스와 디지털 혁신은 누가 이끄는가

2017 미래금융포럼 기조연설 - Bank 4.0 브랫 킹에게 묻는다, 금융의 미래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