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포지 매니징디렉터


프로필

Top rated speaker, advisor, and podcaster. Created and teach the world's first fintech and innovation curriculum for leading graduate schools of banking. Cofounder of FinTech Forge, the industry leader in helping financial institutions build and leverage their innovation capacity internally and through strategic fintech partnerships and investments. Coufounder of the Alloy Labs Alliance, a consortium of banks working together to drive innovation, adopt new technology, and make strategic investments in the future. Trusted advisor to leaders from startups to the Fortune 500.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a leading voice for innovation, strategy, and leadership in several publications, including.

• Fintech influencers you should be following
• Top FinTech Influencer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FinServ 25: The Most Influential Voices in Banking

과거 참여 이력

2017 미래금융포럼 세션

디지털 혁명에서 살아남기
(Thriving in an Era of Digital Disruptions)


2017 미래금융포럼 세션 - 디지털 혁명에서 살아남기
(Thriving in an Era of Digital Disruptions)

제이피 니콜스(JP Nicols·사진) 핀테크포지 매니징디렉터는 “과거 성공의 경험이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은행이 미래 시장에서 성공을 이루기 위해선 ‘실험-학습’ 모델 실행과 파트너십 체결, 혁신 추구 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이피 니콜스(JP Nicols) 핀테크포지 매니징디렉터가 5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제6회 미래금융포럼에서 세션을 진행 하고 있다. / 사진=이존환 객원기자

니콜스는 5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7 미래금융포럼’에서 사양길에 접어든 은행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성공 경험을 답습해서는 안된다고 얘기했다. 니콜스는 글로벌 핀테크 연구기관인 렛츠토크페이먼츠(Let’s talk payments)에서 꼽은 ‘2016년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핀테크 연사’ 명단에서 5위를 차지한 전문가다.

그는 “과거에는 좋은 위치에 지점을 많이 내고, 그런 지점을 많이 보유한 은행을 인수합병(M&A)하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었지만, 지금은 더이상 이런 전략이 통하지 않는다” 며 “지금까지 성공해 온 방법이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과거의 성공 경험은 그다지 좋은 선생은 아니다”고 얘기했다. 

니콜스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새로운 기술들이 많이 출현하면서 은행업의 환경이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다고 봤다. 당시에는 금융위기를 이겨내는 데 집중하느라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큰 눈길을 주지 못했지만, 그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은행업의 환경이 크게 변화했다는 것이다. 

니콜스는 “2000년대만 하더라도 시가총액 상위기업에는 에너지기업이나 금융기업이 많았지만, 2016년 기준 시가총액 상위 5개 기업은 모두 기술기업”이라며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고객의 경험 측면부터 기업의 전술적 측면, 사업모델 등과 같은 전략적 측면까지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이존환 객원기자

니콜스는 은행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존의 ‘계획-실행’ 방법 대신 ‘실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업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은 지금에 와서는 더이상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하고 배우는 방식을 시도해야 한다”며 “고객들에게 민첩하고 기민하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제공한 뒤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핀테크 기업과의 적극적인 파트너십도 강조했다. 은행은 기업 규모가 크고 많은 규제를 받아 새로운 시도를 하기가 어려운 반면, 핀테크 업체들은 이런 부분에서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은행이 핀테크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기술의 발전 속도나 고객의 욕구(needs)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은행이 꾸준히 혁신해야 한다는 점도 놓치지 않았다. 그는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선 제품 혁신과 고객 관리, 인프라 관리를 잘 해야 하는데, 기존 은행들은 이 부분에서 과거의 모습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니콜스는 “은행 임원들과 고객관리나 인프라 관리에 대해 얘기를 해보면 그들은 표준화나 에측 가능성, 효율성 등에 신경 쓸 뿐 고객에 집중하지 않는다”며 “1990~2000년대에는 이런 전략이 통했지만, 앞으로는 이런 부분에서도 혁신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니콜스는 “기존의 핵심 역량을 통해 혁신하는 것, 주변 역량을 통해 혁신하는 것 그리고 완전히 새롭게 혁신하는 것이 있는데 조화롭게 혁신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동시에, 혁신에 적합한 개방주의자를 사내 혁신TF에 배치하고 전사적으로 혁신 TF를 지원하면서 혁신을 관리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더 이상 은행 지점에 사람이 필요없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AI)같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새로운 기술이 은행업의 본질을 모두 바꿀 것이다.” - 미래학자 브렛 킹(Brett King)

‘인공지능(AI)이 가져올 금융혁명’을 주제로 개최된 ‘2017 미래금융포럼’이 5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는 AI 등 미래 기술이 은행과 금융회사에 가져올 변화에 대한 주제를 놓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포럼에는 한 자리에서 만나기 힘든 한국·미국·홍콩·일본 등 AI 금융산업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미래학자 브렛 킹이 기조 연설을 맡았으며,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10여 년간 컴퓨터 과학자로 일했던 오승필 현대카드 디지털본부장이 특별 대담자로 나섰다. 

이밖에 미국 전문가 집단 핀테크 포지(Fintech Forge)의 제이피 니콜스(JP Nicols) 매니징디렉터, 글로벌 IT 기업 NTT데이터의 디지털·핀테크 부문 샘 마울(Sam Maule) 대표, 신용평가모형 부문 글로벌 리딩 핀테크 기업 렌도(Lenddo)의 파올로 몬테소리(Paolo Montessori) 최고운영책임자(COO), 카이스트대 자산운용미래기술센터의 김우창 교수 등 국내·외 석학과 금융 전문가들이 참석해 은행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송의달 조선비즈 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지금 우리나라 금융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거대한 변화의 물결 속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직면해 있다”며 “한국 금융산업이 기존의 틀을 깨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 역시 AI의 등장으로 금융산업이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그들은 “국내 금융사들이 혁신을 위해 핀테크 기업 등 기술기업들과의 협력(Cooperation)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AI 등 신기술이 은행 등 금융회사 종사자들의 수를 크게 줄일 것이라는 주장에는 찬반이 첨예하게 갈렸다. 이제 금융회사들은 구글 등 신기술 기업들과 경쟁해야 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 ‘은행의 종말’ 선언한 브렛 킹 “2025년이면 최대 금융회사는 기술기업 될 것”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선 미래학자 브렛 킹은 기존 오프라인 지점형태로 운영되는 은행 시대의 종식을 예언했다.  

브렛 킹은 AI가 보편화된 시대에 대해 “은행 직원들은 오히려 업무 속도를 늦출 것”이라며 “ “미래 은행에서 인간은 더 이상 필요없다”고 했다. 

전통적으로 신규 고객 유치 창구로 활용되던 은행 영업지점의 역할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AI를 활용하면) 신규고객 유치비용이 매우 낮아진다”며 “은행 지점의 경제학은 이제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중국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텐센트나 위챗과 같이 AI를 활용하는 핀테크 기업들의 신규고객 유치비용이 기존 은행보다 10분의 1, 적게는 50분의 1이나 저렴하기 때문에 기존 은행 지점이 더 이상 고객유치를 위한 채널 기능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산관리 등 PB(Private Banker)들이 제공하는 자문서비스도 AI가 급속히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브렛 킹은 “투자자문사들이 일반인보다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AI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는 없다”며 “자문서비스에서 (PB의) 경쟁력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브렛 킹은 가까운 미래에 기술 기업들이 기존 은행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그는 “은행 지점을 설립하지 않은 알리페이는 8개월만에 거의 930억 달러의 예금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중국 어떤 은행 지점 네트워크도 달성할 수 없었던 일”이라며 알리페이나 공유 택시회사 우버 등 다른 업종의 기술기업들이 금융업이 하던 업무의 영역을 빠르게 대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제이피 니콜스(JP Nicols) 핀테크포지 매니징디렉터도 기술발전의 속도에 발 맞춰야 기존 은행들이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 진단했다. 니콜스는 “미래는 인간의 속도로는 충분하지 않은 시대”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성공할 수 있던 방법으로 한다고 해서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성공에 대한 생각을 바꿔야한다”고 조언했다. 

니콜스는 “과거의 방식을 개선하는 방식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을 것이기에 자신을 와해시키고 파괴적 혁신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학자 브렛 킹(왼쪽)과 김우창 카이스트 교수 / 사진 = 이존환 객원기자

◆ 미래학자들 “AI가 은행 일자리 없앨 것” vs 금융공학자 “기술 통해 기존 직원들 효율성 높인다”

브렛 킹을 비롯한 미래학자들의 주장은 “AI 등 신기술이 은행 등 금융회사 종사자들을 대체할 것”으로 요약된다. 은행원, 증권사 직원, PB 등 금융사 직원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예언이다. 하지만 금융공학과 자산관리를 연구하는 김우창 카이스트 교수는 오히려 “AI가 자산관리 담당자들의 효율성(efficiency)을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AI가 금융권 일자리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의견이 첨예하게 갈린 셈이다.  

브렛 킹은 “사람들이 더 이상 지점을 방문하지 않는 이유는 이제는 지점 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며 “이것은 영업점에 커피머신을 몇 개 더 놓는 문제가 아니다”고 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기술이 확산되고 있고 AI 등 더욱 발전한 기술들이 확산되면서 은행 오프라인 지점에서 직원들의 역할이 현저하게 감소할 것이는 예측이다. 그는 “(지점을 유지하는 방법은) 모든 사람의 스마트폰을 뺏어버리는 것이지만 그렇게 할 수는 없다”며 “지점은 앞으로는 아주 중요하지 않은(마이너 한) 영업채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이피 니콜스 핀테크포지 매니징디렉터도 “디지털 와해(disruption)는 널리 퍼지지 않았을 뿐 이미 진행되고 있다”며 “은행 앞으로 사라질 것이라는 견해는 일리가 있다”고 했다. 얼마나 빨리 은행이 사라질까에 대해서는 알수 없지만 브렛 킹의 견해에 큰 맥락에서 동의한다는 입장이다.  

샘 마울 NTT데이터 디지털 및 핀테크 부문 대표도 “인류 역사상 이렇게 빠른 변화는 겪어본 적이 없다”며 “불과 10여 년 전에 나타난 스마트폰이 앞으로 십년 안에 없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올 정도로 변화가 빠르다”고 했다.

샘 마울은 “앞으로 은행은 장소의 개념에서 벗어나 여러 기술을 융합한 산업이 될 것”이라며 “기술과 금융의 융합은 절대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10년 후에 57%의 일자리를 AI가 대체할 것이라는 세계경제포럼(WEF) 자료를 인용하면서 “2025년까지 미국 월스트리트 일자리 23만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고 했다. 

금융공학과 자산관리(WM) 부문 전문가인 김우창 카이스트 교수의 견해는 크게 달랐다. AI 등 신기술은 금융서비스 부문에서 인간과 기술의 협업을 가능하게 해 기존 금융종사자들의 효율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금융소비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김 교수는 주장했다. 

그는 “지금까지 자산운용산업은 고액자산가와 기관투자자들을 위한 산업이었다”면서 “AI를 활용하면 비용을 혁신해 더 많은 고객에게 자산관리 서비스가 가능한 대중화가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1주일에 2~3명밖에 상담을 못하는 PB가 부수적 업무를 AI와 협업하면 10~20명을 볼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더 적은 금액을 가진 고객들도 자산관리 산업의 고객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일자리 대체 논쟁보다는 플랫폼 시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산관리 시장에서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선점하고 이를 대중화하기 위한 플랫폼 전쟁을 골드만삭스, 구글 등 주요 투자은행과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이 벌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안드로이드폰이나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장의 산업 생태계를 먼저 만들어 세계시장을 양분해 가진 것과 같이 AI를 활용한 일부 선도기업들이 이런 작업에 성공하면 나머지 기업들이 설 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며 새로운 생태계를 선도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교수는 “기존 금융사들이 이제는 구글과 경쟁해야 할지도 모른다”며 “지금 따라잡지 못하면 영원히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파올로 몬테소리 렌도COO(왼쪽부터), JP니콜스 핀테크포지 매니징 디렉터, 샘 마울 NTT데이터 아메리카 디지털부문 대표 / 사진 = 이존환 객원기자

◆ AI시대, 인간을 이해하고 기술 기업들과 협업 필요한 시기

금융사들이 AI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가들은 인간을 이해하고 기술 기업들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마울 대표는 AI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 인간(고객)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AI와 협업할 수 있는 인간만의 고유 영역을 찾아야 AI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자율주행자 엔지니어는 1년 연봉 29만5000달러에 달한다”며 “운동선수처럼 엔지니어 에이전트가 있을 정도로 기업간 영입 경쟁이 심하다”고 설명했다. 

브렛 킹도 “핀테크 기업과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게 은행업에 중요하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새로운 기술을 보유한 핀테크 기업들과 은행들의 융합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제이피 니콜스는 “화성에서 온 뱅커(은행원·은행)와 금성에서 온 핀테크(신기술 기업)라고 표현해야 할 만큼 서로 다른 언어와 생각을 갖고 있다”며 “기술은 상호 호환성이 있어야하고 접목돼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간의 속도로 일하는 은행이 기술의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기술력의 속도에 맞춰져 있는 기업들과 손을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7 미래금융포럼에 참여한 주요 유통업계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 이존환 객원기자

이날 포럼에는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김용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하영구 은행연합회장,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등, 이수창 생명보험협회 회장, 신성환 금융연구원 원장, 김교태 삼정KPMG 대표 등이 이 참석했다.

600여명이 넘는 국내외 금융권 종사자들이 포럼 마지막까지 자리를 뜨지 않았다.

진웅섭 원장은 “IT·네트워크 강국인 한국이 핀테크 혁신의 선두가 될 것”이라며 “감독당국은 시장 조성자 역할을 함으로써 플레이어들이 역동적으로 뛰어들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