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 개최
이익재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
연세의료원, 국내 최초 중입자 치료기 도입
“10년 걸려 도입....난치성 암 정복 돕는다”

이익재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이 9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에서 강연하고 있다./조선비즈
이익재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이 9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에서 강연하고 있다./조선비즈

“중입자 치료를 ‘꿈의 암 치료’라고 소개하기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입자 치료가 고형암과 난치성 종양 치료 판도는 바꿀 겁니다.”

이익재 연세의료원 연세암병원 중입자 치료센터장은 9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암 정복을 앞당기는 새로운 도전’을 주제로 열린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에서 이 같이 말했다. 현존하는 암 치료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외과적으로 암 부위를 도려내는 수술,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다. 방사선 치료 가운데 X선이나 감마선이 아닌 무거운 탄소 이온 등의 입자를 이용한 것을 ‘중입자 치료’라고 부른다.

양성자보다 무거운 탄소 입자를 가속하면 일정 깊이에서 에너지를 발산하는 ‘브래그 피크’ 특성을 이용해 원하는 신체 부위에 방사선량을 높여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샤프 슈터(sharp shooter)’라고 할 만큼 양성자보다 정밀하게 입자를 쏠 수 있어 부작용이 적다. 중입자를 사용하면 특정 DNA를 강하게 타격할 수 있어 방사선 치료보다 2~3배 높은 생물학적 효과(RBE)를 볼 수 있고, 또 방사선에 저항성이 있는 저산소성 또는 난치성 중증 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탄소 이온과 같은 중입자를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의 모습. 무거운 입자를 가속하려면 넓은 면적이 필요해 연세의료원은 5000평 규모의 시설을 꾸렸다./연세의료원
탄소 이온과 같은 중입자를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의 모습. 무거운 입자를 가속하려면 넓은 면적이 필요해 연세의료원은 5000평 규모의 시설을 꾸렸다./연세의료원

연세의료원은 지난 2013년 중입자 치료기 도입을 첫 추진했고, 올해 4월 국내 최초로 5000평 규모의 탄소 기반 중입자 치료 시설을 꾸렸다. 한국은 전 세계 국가 가운데 7번째 중입자 치료기 보유국이 됐다. 연세의료원은 2개의 회전형 치료시설(Gantry) 시스템을 구비했고, 내년 상반기에 운행을 시작한다. 현재 연세의료원에 이어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에서도 중입자 치료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전 세계적으로 탄소 이온 중입자 치료를 받은 환자 수는 급격히 늘면서 1994부터 2021년까지 전 세계 4만 명 이상의 환자가 치료를 받았다”며 “치료 암종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입자 치료의 선두에 있는 일본에서는 전립선암은 물론 육종, 두경부암, 폐암, 췌장암, 간암 등에도 중입자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중입자 치료를 받은 국소 전립선암 환자는 광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보다 5년 동안 재발하지 않고 생존하는 비율(국소 제어율)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특히 소화기암이나 육종, 여성 암 등에서 국소제어율이 뛰어났다. 이 센터장은 “간암에서는 90% 이상의 국소 제어율을 보였고, 췌장암은 80% 이상, 재발이 잦은 직장암은 90%, 방사선 치료에 저항성이 있는 육종은 70~80% 수준의 국소 제어율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유효성은 물론 안전성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이 센터장은 “1994년부터 임상 연구를 진행해 기존 X선이나 양성자선을 사용하는 방사선 치료보다 유효성과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고, 최근에는 치료 횟수를 줄이는 쪽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필러 같은 보호 물질을 넣어 직장 출혈 등의 부작용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간암 환자에게 (방사선) 치료하게 되면, 간경화가 일어난 부분이 피폭되는 경우가 있는데, 중입자 치료는 정상 간 조직의 피폭을 줄였다”고 덧붙였다.

선양낭성암에서는 중입자 치료를 단독 또는 X선 방사선 치료와 같이 사용하면 수술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이 센터장은 “중입자 치료 단독으로도 X선 방사선 치료와 수술을 병행한 것보다도 치료 독성이 적고 국소 제어율도 우수하다”며 “환자와 의사가 함께하는 의사 결정 모형을 개발해 시스템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연세의료원은 주요 중입자 치료센터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안전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 헬스포럼

=홍아름 기자

=염현아 기자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개최
국내 바이오 산업·병원 전문가들 ‘캔서문샷’ 영향 토론
정부 규제 합리화·유연화 필요성 강조도

미국의 암 정복 프로젝트인 ‘캔서문샷’은 미국의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에 성공한 것을 암 정복에 빗대어 만든 용어다. 미국의 암 정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이 전 세계 우주 산업과 과학기술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처럼 ‘캔서문샷’도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9일 열린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에서는 ‘캔서문샷’이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 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김태유 대한암학회 이사장과 김진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부회장, 이민섭 이원다이애그노믹스 게놈센터 대표,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 이익재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캔서문샷에 참여하는 바이오 기업 관계자와 암 임상 치료를 이끄는 병원 관계자들이다.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9일 열린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에서 태유(왼쪽) 대한암학회 이사장과 김진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부회장이 캔서문샷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조선비즈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9일 열린 제11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에서 태유(왼쪽) 대한암학회 이사장과 김진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부회장이 캔서문샷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조선비즈

김진우 부회장은 “캔서문샷은 미국이 주도하는 사업이지만 한국과 미국이 협업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해서 참여하게 됐다”며 “미국 시장은 진입이 어렵지만 국내 시장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미국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캔서문샷이 바이오 산업 규제와 혁신에 있어서 하나의 브릿지가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민섭 대표는 “캔서문샷은 정부 주도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참여자들의 협력과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을 이뤄나가는 기회”라며 “참여자끼리 데이터와 자원을 공유하면서 서로가 잘 할 수 있는 영역에서 융합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는 진단과 검진의 정확도를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원 암병원장은 “한국은 국가 건강검진이나 직장 검진이 많아서 조기진단에 유리한 환경이지만, 여전히 조기진단이 안 되는 암이 많다”며 “이런 암에 대한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익재 중입자치료센터장은 “의사와 환자 사이에 정보의 차이가 있는데 환자가 정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섭 대표도 진단의 중요성에 동의했다. 이 대표는 “암을 조기에 찾을 수 있도록 조기암이라는 개념이 마련돼야 하고, 이건 기업 하나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국가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보다 중요한 게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규제를 풀고 제도적인 지원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김진우 부회장은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의 서포트와 관심이 절실한데 가끔 정부와 기업이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며 “미국이나 유럽의 제도를 벤치마킹만 하지말고 한국만의 자체적인 규제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민섭 대표도 “한국 의료시스템은 원격진료가 어려운 점 등 몇 가지 제약점이 있다”며 “규제나 제도를 유연성을 가지고 가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태유 이사장도 “암 정복의 핵심은 정밀의료”라며 “정밀진단과 정밀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키울 수 있게 정부가 제도를 합리적으로 가져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2023 헬스포럼

=이종현 기자

=이병철 기자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


프로필

  • 2022 ~ 현재
    •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중입자암치료연구소장
    • 아시아방사선종양학회연합(FARO) 평의회 위원

  • 2021 ~ 현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주임교수
    • 연세의료원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장

  • 2019 ~ 현재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국제협력이사

  • 2018 ~ 현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 2015 ~ 2021
    • 연세의료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장

과거 참여 이력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강연
    중입자 치료기 임상이 주는 교훈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오픈토크
    캔서문샷 한국 바이오 헬스 산업의 기회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