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와 에너지’ 4세션

문승일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네 번째 세션 ‘스마트시티와 에너지’에서 “북한 전력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에너지시티로 북한에 에너지 거점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네 번째 세션은 김갑성 연세대 교수(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 위원장)가 좌장을 맡고, 문 교수,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맥킨지에너지센터장, 김영명 KT 스마트에너지사업단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왼쪽부터 김갑성 연세대 교수,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맥킨지에너지센터장, 김영명 KT 스마트에너지사업단장, 문승일 서울대 교수가 21일 ‘2018 미래에너지포럼’ 4세션에서 스마트시티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스마트시티(지능형 도시)는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인프라를 확충하는 대신 기존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는 2016년 1조달러에서 2020년 1조5000억달러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교수는 “북한은 본의 아니게 주어진 조건 때문에 전기‧에너지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효과도 빠르게 볼 수 있다”며 “북한에서 전력 거점 도시를 만드는데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문 교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도 북한에서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태양광이나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부터 시작해서 스마트시티 조성, 송‧배전 등 국가 전력망 구축 이후 최종적으로 수퍼그리드 형태로 가야 한다”며 “지금부터 시작해서 단계를 거쳐야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는 스마트시티 조성은 5년, 국가 전력망 구축은 10년가량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 내 스마트시티 조성 지역으로는 원산을 추천했다. 원산은 남북 교류 사업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시설 등 위험요소가 없기 때문에 스마트에너지시티 후보지로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나진, 청진 등 접경 지역도 러시아 가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선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군사적으로 민감한 지역에 스마트시티를 도입하면 서로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원산 등 동해안이 적절하다”며 “원산 등 적절한 도시에 스마트시티를 조성하면 투자비용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스마트시티 조성에 기술보다는 정책‧예산이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문 교수는 “전기 저장 기술이나 운영 기술 등이 완벽하지 않지만, 한국이 뒤쳐진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술보다는 예산 확보가 중요하고, 계속 추진할 수 있는 정책 연속성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계속 간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스마트시티에 대한 숙제이자 관건”이라고 했다.

스마트시티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교수도 “스마트시티는 기술보다 예산이 어려운데 제일 중요한 것이 정부의 일관성”이라며 “스마트시티가 다음 정부까지 진행되려면 성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뿐 아니라 정부 예산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것도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송 센터장은 스마트시티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민 다수를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를 사례로 들며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설명했다. 에너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를 줄이면 보상한다’, ‘과다 사용하면 벌금을 부과한다’, ‘다른 사람이 쓰는 전기량을 자신과 비교하게 한다’ 등 3가지 방법을 제시했을 때 마지막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빅데이터 등을 이용한 세 번째 방법이 스마트시티 사례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은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네번째 세션 ‘스마트시티와 에너지’ 주제 발표를 통해 “과거 하이테크 기업이 주도한 스마트시티 운동은 기술에 매몰돼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이런 반성하에 최근 시민의 삶에 집중하는 ‘스마트시티 2.0’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송 센터장은 서울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하고 MIT에서 항공우주학 박사학위를 받은 재생 에너지 및 클린테크 전문가다. 태양광, 풍력, 배터리 등 재생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한국과 아시아의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이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송 센터장은 이날 주제 발표에서 맥킨지 내부 연구를 바탕으로 10여년전 태동한 스마트시티 운동이 주목할만한 성과를 내놓지 못한 배경과 최근 스마트시티 관련 동향을 소개했다. 맥킨지는 효율적인 스마트시티 적용으로 도시의 형태와 규모에 상관 없이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을 기본으로 빌딩 자동화, 홈 인포메이션 기술을 활용하면 도시의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송 센터장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최적화와 시간별 전기 가격 차별화만으로도 에너지 소비량이 크게 줄었다”며 “특히 에너지 가격을 차별화하자 의사결정이 고도화돼 시민의 삶이 개선되고 행동양식이 변화한다는 점이 포착됐다”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2007년 무렵 처음 시작된 초기 스마트시티 개념을 ‘스마트시 1.0’으로 정의한다. 송 센터장은 “기술은 시민 삶 개선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지만, 초기 스마트시티는 공공부문을 등한시해 하이테크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따랐다”며 “최근 조류인 스마트시티 2.0의 목표는 기술로 시민의 궁극적인 삶과 행동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스마트시티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도심 내 공공문제를 안전, 건강, 에너지, 물, 폐기물, 운송수단, 경제와 주거, 커뮤니티 등 8가지로 나눠 각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분석했다. 이어 도시의 8가지 분야가 변화함에 따라 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을 건강, 편리함, 안전, 삶의 비용, 일자리, 환경의 질, 커뮤니티 등 7가지 지표로 재분류했다.

송 센터장은 “세계 50개 도시를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에 따라 3 종류로 나눠 스마트시티 적용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니 시민의 삶이 10~30%가량 개선됐다는 결과가 도출됐다”며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아닌 기존 도시 인프라 위에 ‘지능’ 만 입히는 소규모 투자로도 삶의 질이 개선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은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네번째 세션 ‘스마트시티와 에너지’ 주제 발표를 통해 “과거 하이테크 기업이 주도한 스마트시티 운동은 기술에 매몰돼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이런 반성하에 최근 시민의 삶에 집중하는 ‘스마트시티 2.0’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송 센터장은 서울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하고 MIT에서 항공우주학 박사학위를 받은 재생 에너지 및 클린테크 전문가다. 태양광, 풍력, 배터리 등 재생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한국과 아시아의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에너지센터장이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송 센터장은 이날 주제 발표에서 맥킨지 내부 연구를 바탕으로 10여년전 태동한 스마트시티 운동이 주목할만한 성과를 내놓지 못한 배경과 최근 스마트시티 관련 동향을 소개했다. 맥킨지는 효율적인 스마트시티 적용으로 도시의 형태와 규모에 상관 없이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을 기본으로 빌딩 자동화, 홈 인포메이션 기술을 활용하면 도시의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송 센터장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최적화와 시간별 전기 가격 차별화만으로도 에너지 소비량이 크게 줄었다”며 “특히 에너지 가격을 차별화하자 의사결정이 고도화돼 시민의 삶이 개선되고 행동양식이 변화한다는 점이 포착됐다”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2007년 무렵 처음 시작된 초기 스마트시티 개념을 ‘스마트시트 1.0’으로 정의한다. 송 센터장은 “기술은 시민 삶 개선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지만, 초기 스마트시티는 공공부문을 등한시해 하이테크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따랐다”며 “최근 조류인 스마트시티 2.0의 목표는 기술로 시민의 궁극적인 삶과 행동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스마트시티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도심 내 공공문제를 안전, 건강, 에너지, 물, 폐기물, 운송수단, 경제와 주거, 커뮤니티 등 8가지로 나눠 각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분석했다. 이어 도시의 8가지 분야가 변화함에 따라 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을 건강, 편리함, 안전, 삶의 비용, 일자리, 환경의 질, 커뮤니티 등 7가지 지표로 재분류했다.

송 센터장은 “세계 50개 도시를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에 따라 3 종류로 나눠 스마트시티 적용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니 시민의 삶이 10~30%가량 개선됐다는 결과가 도출됐다”며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아닌 기존 도시 인프라 위에 ‘지능’ 만 입히는 소규모 투자로도 삶의 질이 개선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