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AI 비즈니스 리더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강연 4 -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HyperCLOVA X
‘스마트시티와 에너지’ 4세션
문승일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21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네 번째 세션 ‘스마트시티와 에너지’에서 “북한 전력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에너지시티로 북한에 에너지 거점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네 번째 세션은 김갑성 연세대 교수(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 위원장)가 좌장을 맡고, 문 교수, 송경열 맥킨지앤컴퍼니 맥킨지에너지센터장, 김영명 KT 스마트에너지사업단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스마트시티(지능형 도시)는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인프라를 확충하는 대신 기존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는 2016년 1조달러에서 2020년 1조5000억달러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교수는 “북한은 본의 아니게 주어진 조건 때문에 전기‧에너지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효과도 빠르게 볼 수 있다”며 “북한에서 전력 거점 도시를 만드는데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문 교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도 북한에서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태양광이나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부터 시작해서 스마트시티 조성, 송‧배전 등 국가 전력망 구축 이후 최종적으로 수퍼그리드 형태로 가야 한다”며 “지금부터 시작해서 단계를 거쳐야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는 스마트시티 조성은 5년, 국가 전력망 구축은 10년가량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 내 스마트시티 조성 지역으로는 원산을 추천했다. 원산은 남북 교류 사업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시설 등 위험요소가 없기 때문에 스마트에너지시티 후보지로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나진, 청진 등 접경 지역도 러시아 가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선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군사적으로 민감한 지역에 스마트시티를 도입하면 서로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원산 등 동해안이 적절하다”며 “원산 등 적절한 도시에 스마트시티를 조성하면 투자비용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스마트시티 조성에 기술보다는 정책‧예산이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문 교수는 “전기 저장 기술이나 운영 기술 등이 완벽하지 않지만, 한국이 뒤쳐진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술보다는 예산 확보가 중요하고, 계속 추진할 수 있는 정책 연속성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계속 간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스마트시티에 대한 숙제이자 관건”이라고 했다.
스마트시티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교수도 “스마트시티는 기술보다 예산이 어려운데 제일 중요한 것이 정부의 일관성”이라며 “스마트시티가 다음 정부까지 진행되려면 성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뿐 아니라 정부 예산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것도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송 센터장은 스마트시티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민 다수를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를 사례로 들며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설명했다. 에너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를 줄이면 보상한다’, ‘과다 사용하면 벌금을 부과한다’, ‘다른 사람이 쓰는 전기량을 자신과 비교하게 한다’ 등 3가지 방법을 제시했을 때 마지막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빅데이터 등을 이용한 세 번째 방법이 스마트시티 사례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건국대 정보통신대학원 금융IT학과 교수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세상을 바꾸는 빅데이터
신한카드 빅데이터센터 본부장
[경력]
2014~현재/ 신한카드 Big Data 센터 본부장 2012~2013/ 포스코ICT컨설팅 사업부 Director 2007~2012/ SK C&C 컨설팅 사업부 2001~2006/ 삼성 SDS/삼성전자 그룹정보 전략/경영혁신그룹
1995~20001/ 미국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기계공학 박사(Data Mining)
[학력]
1992~1995/ 고려대학교 기계공학 석사 1987~1992/ 고려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발표내용]
신한카드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공공가치를 제고한 사례를 소개한다. 신한카드 자체 보유 빅데이터를 통해, 민간 뿐 아니라 공공분야의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준 사례를 소개한다.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세상을 바꾸는 빅데이터
레드헤링 대표
2012 – Present 레드헤링㈜ 대표 이사
2010 – 2012 ㈜ 노벨리스, 부사장 및 아시아본부 CFO
2006 – 2008 (주) 판도라TV, CFO
2002- 2005 ㈜ 레드헤링, 대표이사(CEO)
1999 – 2002 (주) 삼보컴퓨터, 부사장& 그룹 CFO/Corporate Center 장
1995- 1999 GE Capital Asia, 신규 사업담당 부사장 (홍콩)
1996-1998 GE Capital Korea 한국 총괄 1992- 1994 J.P. Morgan 증권 부사장, Fixed Income Capital Markets (채권관련 증권 발행 본부) (미국 뉴욕, 홍콩)
1991-1992 The Boston Consulting Group 컨설턴트 (미국 보스턴, 홍콩)
1986–1989 Thomas H. Lee Company (미국 보스턴)
[학력]
1986 하버드 대학교 역사학 학사
1991 펜실베니아 워튼 스쿨, 펜실베니아 대학교, MBA
국내외 스타트업들 투자을 해오고 있음. 투자한 회사들로는 국내에는 말랑스튜디오, 피키캐스트, 한국 NFC, 엔에프랩스 (NFLabs) 등이 있으며, 해외 스타트업 기업으로는 일본의 씨네마크래프트 (CinemaCraft), 중국의 시바오 (Xibao), 영국의 스쿼럴 (Squirrel) 등이 있음. 핀테크 분야에는 총 3개 관련 회사에 투자를 하고 있음.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세상을 바꾸는 빅데이터
교보라이프플래닛 보장유지팀장
2013년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보험㈜ 보장유지팀 팀장
2012년 교보디지털생명보험 프로젝트 현업 PM 2009년 교보생명 보험심사팀 전문
2003년 교보생명 언더라이팅팀 과장
[발표내용]
핀테크의 최대 화두인 간편결제와 빅데이터가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또 이를 도입하기 위해 업계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토론한다.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보험산업과 핀테크의 결합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경력]
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전) 템플대학교 조교수 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강사
2015 미래금융포럼 세션
세상을 바꾸는 빅데이터
“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비중이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만 태양광으로 3기가와트(GW)를 생산합니다. 스마트 그리드가 중요한 전환점에 있고, 변화는 더 빨라질 것으로 봅니다.”
라지트 가드 UCLA 교수는 8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6 미래에너지 포럼’에 참석, “스마트 그리드 연구를 통한 전력 수요 관리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가드 교수는 “전력 시스템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마트 그리드를 적용해 전력 수요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스마트 그리드 전환점…신재생 에너지 비중 늘어
가드 교수는 세계적인 신재생 에너지 확대 추세를 강조했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 필요하다고 했다.
가드 교수는 “미국은 전기차 충전소 확충을 위해 45만개의 플러그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캘리포니아 유틸리티 회사들이 의무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50% 사용해야 한다는 법안도 통과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르웨이는 2020년까지 휘발유 자동차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이런 추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가드 교수는 “UCLA는 필요로 하는 전력의 80%를 자체 생산해 공급하는 마이크로 그리드가 있으며, 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기술적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기술 발전으로 스마트 그리드 관련 변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 에너지 수요 관리 중요…빅데이터 활용
가드 교수는 향후 전력 수요 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력을 별도로 가정에서 구매하거나 별도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다시 판매하는 등 에너지 활용 방안이 다양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스마트 그리드를 활용하면 전력 사용량, 집중 사용 시간 등 관련 정보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수요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가드 교수는 “UCLA 캠퍼스 곳곳에 200개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가 있다. 앱으로 데이터를 스마트 그리드 사업자에게 전달, 운전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언제 얼마나 충전하는지를 알 수 있다. 어떻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관련 기술 비용도 점점 낮아지고 있어 충분히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러가지 에너지 자원이 있지만 계속해서 기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