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킹닷컴 South & North APAC 디렉터


프로필

  • 2020 ~ 현재
    • 부킹닷컴 South & North APAC 디렉터

  • 2019 ~ 2020
    • 부킹닷컴 글로벌 체인 싱가포르 지점장

  • 2017 ~ 2019
    • 부킹닷컴 캐나다 지점장

과거 참여 이력

  • 2025 유통산업포럼 트래블테크
    K-브랜드와 여행자의 연결고리: 부킹닷컴의 AI
    활용법

네이버웹툰 데이터옵스 팀장


프로필

  • 2022 ~ 현재
    • 네이버웹툰 데이터옵스 팀장

  • 2018 ~ 2021
    • SK텔레콤 머신 러닝 엔지니어

  • 2016 ~ 20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설연구소 연구원

  • 2015 ~ 2016
    • 안랩 위협분석팀 연구원

과거 참여 이력

  • 2024 글로벌경제투자포럼 강연
    인구 감소 시대의 대한민국 주택 부동산

2024 글로벌경제·투자포럼 강연 - 인구 감소 시대의 대한민국 주택 부동산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에서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축사를 하고 있다./조선비즈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에서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축사를 하고 있다./조선비즈

“이번 달 출범하는 ‘국가 인공지능(AI) 위원회’를 통해 국가 AI 역량을 총결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AI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기반 조성을 고려한 AI 기본법 제정도 적극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국내 최대 테크 콘퍼런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 축사에서 “한국이 글로벌 AI G3로 도약하고 국가 전반에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벤처 기업과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등 민간과 정부가 긴밀히 협력하고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강 차관은 “지난해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새로운 AI 기술과 서비스의 출현은 그 잠재성과 영향력에 있어 전례가 없는 범위와 속도로 우리 삶을 변화시킬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며 “교육과 의료, 물류, 제조 등 전방위적으로 기존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가 앞다퉈 출시되고 있고, 경제와 사회 그리고 문화 전반에 혁신과 격변이 예상되고 있다”고 했다.

강 차관은 이어 “반도체와 전력설비, 데이터센터 등의 기존 산업은 AI로 인해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며 “특히 클라우드는 AI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서 새롭게 열리는 시장과 생태계의 중심에서 제2의 성장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고 했다.

강 차관은 AI 산업 성장을 위해 정부가 적극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올해는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계획을 발표한 지 딱 30년이 되는 해”라며 “30년을 지나오며 정부도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현재 경쟁력을 갖춘 나라가 됐다. 그때처럼 이제는 다시 새롭게 도전할 AI 시대가 도래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류가 자동차의 엔진 속도를 규제했으면, 달나라에 가지 못했을 것이지만 ‘브레이크’라는 제도를 도입해 자동차의 안전을 보장했다”며 “과기정통부도 관계부처와 적극적으로 협조해 AI의 안전한 혁신과 경쟁의 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

= 전병수 기자

5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서 개최… ‘AI 시대 새로운 기회들’ 주제로
HP, 퀄컴, 레노버, 슈퍼마이크로, 텐스토렌트 등 글로벌 빅테크 실세들 한자리에
다양한 산업군 AI 사업 전략과 노하우 공유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막한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에서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가 개회사를 하고 있다./최지희 기자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막한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에서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가 개회사를 하고 있다./최지희 기자

국내 최대 테크 콘퍼런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가 ‘인공지능(AI) 시대 새로운 기회들(New Opportunities in the Age of AI)’을 주제로 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막했다. 올해 행사에는 세계 1·2위 PC 제조업체인 레노버와 HP, 세계 최대 모바일 반도체 기업 퀄컴을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핵심 임원들이 총출동한다. 이들은 격변하는 AI 시대에 생존을 넘어 성공할 수 있는 사업 전략과 노하우를 공유한다. 또 AI 인프라 수요 급증과 함께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미국 슈퍼마이크로와 반도체 설계의 거장 짐 켈러가 이끄는 텐스토렌트 등도 차별화된 AI 사업 전술에 대해 발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조선비즈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이날 행사에는 이른 아침부터 정부, 학계, 산업계 관계자 300여명이 자리해 AI가 새로 촉발하는 기회에 관해 큰 관심을 보였다.

첫 기조강연은 짐 노팅엄 HP 첨단 컴퓨팅 솔루션 부문 수석부사장이 맡았다. 그는 ‘미래를 대비하는 AI(Future Ready AI)’를 주제로 AI가 어떻게 PC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어떤 혁신을 불러오고 있는지 소개할 예정이다. 노팅엄 수석부사장은 미 유타주립대에서 전기공학 석사 과정을 마친 뒤 30여년간 HP에서 일하며 주요 직무를 거쳤다.

두 번째 기조강연은 두르가 말라디 퀄컴 수석부사장이 담당한다. 그는 전자기기에서 자체 학습과 추론이 가능한 온디바이스(내장형) AI를 활용해 업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노하우를 전한다. UCLA에서 전기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말라디 수석부사장은 1998년부터 퀄컴에서 근무했다. 현재 퀄컴에서 기술 제품 관리와 로드맵 기획을 담당하는 핵심 인물이다.

세 번째 기조연설은 아니메쉬 가그 조지아공대 교수가 ‘생성형 AI로 일반화된 로봇공학(Generalizable Robotics with Generative AI)’을 주제로 발표한다. 그는 UC버클리에서 머신러닝 및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조지아공대에 합류하기 전 토론토대 교수를 역임했다.

네 번째 기조연설은 케빈 바라고나 딥AI(DeepAI)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맡는다. 딥AI는 전 세계 생성형 AI 사용 순위에서 50위 안에 드는 회사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AI의 민주화’를 목표로 2016년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다섯 번째 기조연설은 수미르 바티아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그룹 아시아·태평양 사장이 맡는다. 그는 ‘더 나은 AI 미래를 함께 구축하며(Building a Smarter AI Future Together)’를 주제로, AI 제품이 만들어 내는 시너지 효과를 소개한다.

여섯 번째 기조연설은 빅 말얄라 슈퍼마이크로 비즈니스 개발 부문 수석 부사장이 온라인으로 강연한다. 일곱 번째 기조연설은 키스 위텍 텐스토렌트 최고운영책임자(COO)가 ‘AI: 먼저 움직이는 자, 모든 것을 바꾼다(AI: Moving Quickly and Changing Everything)’를 주제로 AI 혁신이 주는 기회에 관해 발표한다.

국내에서는 박준식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한국지사장, 김진우 라이너 대표, 양승지 SK텔레콤 비전 R&D 담당(부사장), 신동훈 KT AI2XL AI코어 기술 담당(상무)이 연사로 나선다.

김진우 라이너 대표는 2018년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 30인’에 꼽혔다. 올해 벤처캐피털(VC) 회사 앤드리슨호로비츠가 발표한 글로벌 생성형 AI 서비스 사용량 순위에서 4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라이너보다 사용량이 많은 서비스는 오픈AI ‘챗GPT’, 구글 ‘제미나이’, 캐릭터닷AI 정도다.

양승지 부사장은 ‘기업 스케일의 비전 AI 기술-문제와 기회의 간격’을 주제로 발표한다. 신동훈 상무는 산업 전반에 실제로 적용된 AI 기술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을 소개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담당하는 오픈세션에서는 김종찬 메가존클라우드 센터장이 나와 ‘AI 클라우드·AI SaaS 산업 글로벌 현황 및 트렌드’에 대해 강연한다. 강종호 베스핀글로벌 부사장은 AI MSP를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 사례와 관련한 성공 비결을 전한다. 최시원 채널코퍼레이션 대표는 ‘AI로 돈 버는 산업이 있을까? CS 문제 풀던 SaaS, 어쩌다 여기까지’을 주제로, 박재혁 삼성SDS 하이퍼 오토메이션(Hyper Automation) 사업팀 상품기획그룹장은 ‘생성형 AI 기반 초자동화가 주도하는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주제로 발표한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

= 최지희 기자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프로필

  • 2019 ~ 현재
    •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 카이스트 인공지능 공정성 연구 센터장

  • 2022 ~ 현재
    • IEEE 기계학습 신호처리 기술 위원회 위원

  • 2017 ~ 현재
    • 카이스트 비디오 튜어링 테스트 인공지능 센터장

  • 2011 ~ 현재
    • 카이스트 글로벌 협력 본부장, 국제협력 처장

  • 2019 ~ 2023
    • 한국인공지능학회장

과거 참여 이력

  •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 패널토의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그룹 아시아·태평양 사장


프로필

  • 2016 ~ 현재
    •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그룹 아시아·태평양 사장

  • 2015 ~ 2016
    • 델 아시아태평양 지부 기업 솔루션 및 제휴 부문 전무

  • 2014 ~ 2015
    • 델 아시아태평양 지부 커머셜 채널 부문 전무

  • 2012 ~ 2014
    • 델 남아시아 지부 기업 솔루션 부문 본부장

  • 2008 ~ 2010
    • 노텔 아시아 및 신흥시장 부문 글로벌 전략 제휴 파트너

  • 2000 ~ 2008
    • 노텔 아시아 지부 SMB & 유통 전략 부문 리드

과거 참여 이력

  • 스마트클라우드쇼 2024 기조강연
    더 나은 AI 미래를 함께 구축하며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은 “견고하고, 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녹색 전환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이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이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

김 회장은 27일 조선비즈 주최로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전 세계가 자국의 에너지 자원을 보호하고 해외 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면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암참은 에너지 분야의 혁신과 협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탄력적인 인프라 개발을 주도한다“면서 “베이커 휴즈(Baker Hughes)·GE·LG에너지솔루션·포스코 등 많은 암참 회원사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설루션을 위해 협력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한미 양국이 지난해 8월 미국 대통령의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3국 정상회의에서 기후, 환경, 에너지 문제를 두고 여러 차례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당시 이들 3국은 메콩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지원하고, 수자원 안보 및 기후 회복력을 증진하기 위해 공동하고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 회장은 “한미 동맹은 지역 안정의 초석이자 글로벌 에너지 협력의 모델이 돼 에너지 복원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면서 “에너지원 다변화,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 그리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한미동맹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암참은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의 최적의 헤드쿼터(본부)라고 생각한다”며 “글로벌 에너지 환경이 계속 진화하면서 더 많은 미국 기업이 한국에 지역 본부를 설립하는 건 인도·태평양 전체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 미래에너지포럼

=정민하 기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부회장


프로필

  • 현재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부회장

  • 2016 ~ 현재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등재이사

  • 2016 ~ 2020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등재이사

  • 1991 ~ 2015
    • 글로벌 생명과학 관련 유수 기업 근무

  • 1987 ~ 1991
    • 미국 Peat Marwick Mclintock(KPMG 전신) 컨설턴트

  • 1989
    • 뉴욕 대학교 경영학 석사

  • 1987
    • 뉴욕 대학교 경영학 졸업

과거 참여 이력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강연
    암정복 생태계의 전환: PAUF 신규 타겟을 통한 췌장암 정복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오픈토크
    캔서문샷 한국 바이오 헬스 산업의 기회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강연 4 - 암정복 생태계의 전환: PAUF 신규 타겟을 통한 췌장암 극복

모더나 수석 부사장


프로필

  • 2020 ~ 현재
    • 모더나(Moderna) 모더나 수석 부사장
    • 모더나(Moderna) 백신사업부 부사장

  • 2015 ~ 2020
    • 머크(Merck) 글로벌 마케팅 백신사업부 총괄

  • 2011 ~ 2015
    • 머크(Merck)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표

  • 2001 ~ 2011
    • 머크(Merck) 전염병 & 국제공중보건 본부 총괄 부사장

  • 1999 ~ 2001
    • 라이프셀(Lifecell) 영업 & 마케팅 부사장

  • 1995 ~ 2001
    • 사노피(Sanofi) 글로벌 마케팅 부사장

과거 참여 이력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기조강연
    모더나: mRNA 기술로 이끄는 의학 혁신

엔비디아 글로벌 헬스케어 AI스타트업 개발자협력부문 리드


프로필

  • 2019 ~ 2023
    • 엔비디아 글로벌 헬스케어 AI스타트업 개발자협력부문 리드

  • 2023 ~ 현재
    • 엔비디아 헬스케어 생명과학 부문 생태계 비즈니스 개발부 소속

  • 2019 ~ 2020
    • Dancewaze CEO·공동창립자

  • 2017 ~ 2018
    • Cuddle Budds 공동창립자

  • 2016 ~ 2017
    • 엔비디아 AI시스템&분석 부문 제품 선임매니저·제품 마케팅 매니저

  • 2013 ~ 2016
    • 씨스코 제품·파트너·솔루션 마케팅 매니저

과거 참여 이력

  • 2023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기조강연
    픽셀과 세포를 연결하다: 암 치료의 새로운 출발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