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미디어그룹의 경제전문매체 조선비즈가 24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날 심포지엄에선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 개선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조선비즈가 24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패널 토의 참석자들이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김태동 차의과학대학 교수,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 윤승준 동현세무회계 대표, 최호윤 회계법인 더함 대표,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본부장,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 /조선비즈
조선비즈가 24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에서 패널 토의 참석자들이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김태동 차의과학대학 교수,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 윤승준 동현세무회계 대표, 최호윤 회계법인 더함 대표,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본부장,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 /조선비즈

행사 참석자들은 비영리법인의 회계 투명성을 높일 방안으로 감사인 자질 향상과 독립성 확보, 감사 관련 정보 교류 등을 꼽았다. 또 공익법인과 사립대학의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도입의 명암에 대해서도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김영식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비영리 부문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이 커지면서 회계 투명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대다수 비영리 부문은 국민 후원금과 정부 보조금 등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부담되더라도 회계 투명성 관리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김 회장은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상장 기업 등이 채택하는 표준 감사 시간 제도나 감사인 지정제와 같은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비영리법인 다수가 인력과 예산 부족을 겪고 있는 만큼, 단계적으로 시행 대상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최호윤 더함 회계법인 대표는 공익법인의 외부 감사 투명성을 높이려면 감사인의 자질 향상과 독립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공익법인이 회계 기준과 원칙에 따라 만든 정보는 의사결정에 유용한 재무 정보여야 한다”며 “잘못된 부분을 잡아내고, 이를 보고할 수 있는 독립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했다.

윤승준 동현세무회계 대표는 ‘사립대학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도입의 명과 암’을 주제로 강연하며 비영리법인 중에서도 사립대 회계 제도에 대해 범정부 차원의 개혁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표 이후 이어진 토론은 김태동 차의과학대학 교수가 이끌었다.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 정인철 계명대학교 총무부장,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 본부장,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 최용하 교육부 대학경영지원과 과장,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비영리 부문의 회계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지난해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비영리법인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주기적 지정 감사제의 필요성에도 대체로 동의했다. 다만 현재 제도가 시행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만큼, 이해관계자들의 협의를 통해 보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손혁 계명대학교 교수는 비영리법인의 회계 책임성 강화를 강조했다. 비영리법인에서 회계 투명성을 훼손하는 문제가 불거지면 기부자가 줄고, 선한 의도를 가지고 공익을 위해서 노력하는 다른 법인들에까지 피해가 간다고 했다. 그는 “부정을 막을 수 있는 주기적 지정 감사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비영리 부문에 전문성이 있는 감사인 지정 필요성도 제기됐다. 차용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운영지원실장은 “사회복지 환경과 구조, 후원금·출연재산의 사용처 등을 잘 이해하는 감사인이 배정돼야, 비영리법인의 회계 기준과 체계를 완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기적 지정 감사제 적용 대상이 아닌 비영리법인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현재 주기적 지정 감사 대상인 기업은 200여개로, 종교 단체 등을 제외한 전체 비영리법인의 1%에 불과하다. 변영선 삼일회계법인 비영리법인지원센터장은 “나머지 법인의 회계 책임성을 높이는 방안도 생각할 때”라고 했다.

관계 당국은 주기적 감사 지정제의 도입 취지가 현장에서 제대로 효과를 내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했다. 김준하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사무관은 “아직 제도 시행 2년밖에 되지 않아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면서 “주기적 감사제 대상 선정 기준을 현행 자산 규모뿐 아니라 수익 금액 등 다른 요소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오귀환 기자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프로필

  • 2013 ~ 현재
    • 차의과학대학교 데이터경영학과 교수

  • 2023 ~ 현재
    •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위원

  • 2021 ~ 현재
    • 차의과학대학교 경영대학원 원장

  • 2022
    • 한국정부회계학회 회장

  • 2021
    • 한국회계정책학회 회장

과거 참여 이력

  •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 패널 토론

스탠퍼드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부교수⋅엔비디아 특훈과학자


프로필

  • 2021 ~ 현재
    • 엔비디아 특훈과학자
    • 엔비디아 자율주행연구소장

  • 2019 ~ 현재
    • 스탠퍼드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부교수
    • 스탠퍼드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계산과학공학부 겸임교수

  • 2012 ~ 2019
    • 스탠퍼드 대학교 보조교수

  • 2010 ~ 2012
    • NASA 연구기술자

과거 참여 이력

  •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기조강연
    생성형 AI가 이끄는 자율주행차량 개발 혁신
  •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패널토의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기조강연2 - 생성형 AI가 이끄는 자율주행차량 개발 혁신

인공지능학자⋅『인공지능의 미래』 저자


프로필

  • 현재
    • 인공지능학자

  • 2014 ~ 현재
    • 스탠퍼드대학교 법률정보센터(CodeX) 펠로우

  • 2004 ~ 2012
    • Winster 공동창립자·대표이사

  • 2000 ~ 2001
    • Egghead Software 대표이사·공동회장

  • 1994 ~ 1999
    • Onsale Inc. 공동창립자·대표이사

  • 1987 ~ 1993
    • GO Corporation 공동창립자·대표이사

  • 1985 ~ 1987
    • Lotus Development 수석 기술자

저서

  • 『인공지능의 미래』, 2017

  • 『인간은 필요없다』, 2016

과거 참여 이력

  •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기조강연
    생성형 AI가 모든 것을 바꾼다
  •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패널토의


스마트클라우드쇼2023 기조강연 1 - 생성형 AI가 모든 것을 바꾼다

계명대학교 교수


프로필

  • 2012 ~ 현재
    • 계명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 전임교수
  • 2023 ~ 현재
    • 한국회계학회 부회장
  • 2021 ~ 현재
    • 경제민주주의 21 감사
  • 2020 ~ 2022
    • 한국회계학회 회계저널 편집위원장

과거 참여 이력

  •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 패널 토론

동현세무회계 대표


프로필

  • 2023 ~ 현재
    • 동현세무회계 대표

  • 2008 ~ 2022
    • 한양여자대학교 세무회계사 부교수

  • 2000 ~ 2007
    • 한국회계기준원 조사연구실 수석연구원

  • 1997 ~ 1999
    • 산업자원부 무역위원회 행정사무관

  • 1994 ~ 1996
    • 동서증권 기업금융2부 차장

  • 1992 ~ 1993
    • 한국다우케미칼 관리부 차장

  • 1989 ~ 1991
    • 삼일회계법인 감사2본부 Senior

과거 참여 이력

  • 2023 회계현안 심포지엄 주제발표
    사립대학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도입의 명과 암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교수


프로필

  • 2012 ~ 현재
    •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교수

과거 참여 이력

  • 2023 사이버보안콘퍼런스 기조연설
    취약성 평가 자동화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2023 사이버보안콘퍼런스 패널토의

2023사이버보안콘퍼런스 기조연설 1 - 취약성 평가 자동화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2023사이버보안콘퍼런스 패널 토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프로필

  • 현재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한국창의성학회 회장
    • VISA, FICO, 삼성, 포스코, 신한 등 다국적 기업 자문위원

저서

  • 『창의적 사고』, 2020

  • 『창조적 사고』, 2016

  • 『전략적 사고』, 2007

과거 참여 이력

  • 2023 미래금융포럼 패널토의
    기존 금융기업의 창의적 변신과 미래

2023 미래금융포럼 패널토의 2 - 기존 금융기업의 창의적 변신과 미래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프로필

  • 2018 ~ 현재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 2017 ~ 현재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 1998 ~ 2017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 1990 ~ 1998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부교수

  • 1987 ~ 1990
    • 미주리대학교(미국) 마케팅학과 조교수

저서

  •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 2022

  • 『그로잉 업』, 2019

  • 『배민다움』, 2017

  • 『나음보다 다름』, 2015

  • 『대한민국을 브랜딩하라』, 2014

외 다수 집필


과거 참여 이력

  • 2023 유통산업포럼 강연
    오래 살아남는 브랜드 전략

회원가입 후 이용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