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표식품㈜ 마케팅본부장
대상㈜ 기술원 식품연구소 H2 PO
풀무원 식품 지구식단 BM
인사이트플랫폼 대표
에쓰푸드㈜ Food Innovation 본부 육가공 R&D실장
문정훈 교수 “결선 평가 가장 중요하게 본 것은 혁신성”
송미령 장관 “푸드테크 산업 체계적으로 육성할 것”
참가 업체 “기술력 인정 받고 제품 알릴 자리”
식품 분야에서 유망한 기업과 스타트업을 발굴해 널리 알리고, 급변하는 식품 소비 흐름과 시장 변화를 공유하는 ‘2024 대한민국푸드앤테크대상’이 3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푸드앤테크대상은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가 후원하는 행사다. 올해 4회째를 맞았다.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는 “여러분들이 만든 식품이 세계에서 통하는 시대”라며 “오늘 수상이 그간 좋은 식품을 만들기 위해 쏟은 노력에 대한 격려와 응원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조선비즈는 2021년 처음 개최한 대한민국식품대상을 2022년 푸드테크 분야까지 확대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10% 많은 271개 제품이 출품됐다. 이 중 공정한 심사를 거쳐 96개 제품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문정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결선 평가에서 가장 중요하게 본 것은 ‘혁신성’”이라면서 “전반적으로 이전보다 소비자를 배려하고, 시장성에 초점을 맞춘 제품들이 많이 출시됐다”고 말했다.
3시간여 동안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심사위원을 비롯해 식품업계 전문가, 수상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푸드테크(식품과 기술의 결합) 산업은 소비자의 식품구매 편의를 높이고 외식업계의 인력난 해소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면서 “세계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푸드테크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어 “정부도 푸드테크 육성을 위해 정책 전담 부서인 ‘푸드테크정책과’를 신설하고 관계부처와 기업, 학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푸드테크 산업 발전협의회도 출범하면서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푸드테크 분야에서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에 수여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은 엠트리센의 인공지능(AI) 기반 번식 돼지 정밀관리 시스템 ‘딥아이즈’가 받았다.
엠트리센 ‘딥아이즈’는 영상을 통해 24시간 돼지 건강 상태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행동 패턴(기립 횟수)을 분석해 분만 전 후 어미돼지 건강상태와 분만 시기를 예측한다.
딥아이즈는 양돈 시장에서 국내외 100곳 이상 농장에 적용돼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건강 상태 정밀 분석을 통해 농가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해 출품한 상품 가운데 최고에 해당하는 ‘탑 오브 베스트(Top of Best)’는 BGF리테일 식품 자회사 BGF푸드가 판매하는 ‘팔도한끼 완도식전복버터볶음밥’이 받았다.
팔도한끼 완도식전복버터볶음밥은 쌀밥에 전복 내장을 소스화한 전복덮밥 소스에 다진 전복과 버섯, 호주산 발렌타인 수입 버터를 더한 간편식이다. 일반식과 간편식 부문에서 최고 점수를 획득하면서 탑 오브 베스트에 선정됐다.
◇ “제품 알릴 기회이자 기관·관계사 대화의 장”
이날 행사에는 베스트 오브 2024 수상작 전시와 포토월도 마련됐다. 수상자들은 전시 상품을 둘러보고 받은 상을 들고 사진을 찍으며 소감을 나눴다. 자리에 모인 다른 관계사나 기관과 제품에 대한 논의를 하는 곳도 있었다.
완도식전복버터볶음밥으로 탑 오브 베스트를 받은 BGF리테일 상품본부 HMR팀은 “회사를 대표해 큰 상을 받게 돼 영광”이라고 했다. 김배근 상품본부 HMR팀 팀장은 “전복의 장을 이용해서 만든 간편식 제품은 처음인데, 이런 점이 높게 평가돼 상을 받은 것 같다”고 했다.
그는 특히 “비린 맛이 날 수 있어 간편식 상품으로 만드는 게 쉽지 않은 전복 장을 제품화한 것과 더불어 고형물이나 토핑에 쓰이는 원재료 역시 가치감 있게 만들려고 노력했다”고 했다.
캡슐과 추출머신을 활용한 헬스케어 융합비즈니스모델로 푸드테크 기술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메디프레소는 농식품부 관계자들이 관심을 보여줘 뜻깊었다고 했다.
김하섭 메디프레소 대표는 “등록 특허를 21개나 가지고 있을 만큼 기술 개발에 몰두해 상을 받을 수 있던 것 같다”면서 “송 장관도 참석한 가운데 농식품부에서도 기술과 제품에 관심을 가지고 뜻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어 좋았다”고 했다.
쌀 펄발사믹으로 일반식품 소스·양념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구본일 구본일발효 대표는 “대기업들이 가득한 시상식에서 상을 받을 수 있어 자랑스러웠다”면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정이나 업장에서 구슬형 식초 등은 대부분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국내에도 이런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있다는 것을 많이 알리는 기회가 될 것 같다”고 했다.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가 후원하는 2024 대한민국 푸드앤테크대상에서 31종의 일반식품이 31일 대상을 수상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대한민국 푸드앤테크대상은 유망한 기업과 스타트업을 발굴해 알리고 식품 소비 트렌드와 시장 변화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국내식품시장규모는 2018년 260조3150억원에서 346조5890억원으로 33.1% 증가했다. 조선비즈는 출품된 일반식품 가운데 혁신성을 중점적으로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31종을 선정했다. 지난해에는 26개 제품이 수상했는데 올해 규모가 늘었다.
롯데, 신세계 등 대기업은 물론 다양한 중소기업 제품들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음료 부문에서는 롯데칠성음료의 오트몬드, BGF리테일의 푸룬 클렌즈샷, 코리아세븐의 군산헤미 명인 식혜, 신세계푸드의 유아왓유잇 식물성 라이스 베이스드 등이 상을 받았다.
육류·수산물·식물성가공 부문에서는 에쓰푸드의 나트륨을 줄인 마일드 베이컨, 순수본 토핑 볶은한우, 아워홈의 구씨반가 청잎김치, 동원F&B 리챔 35% 더블라이트 등이 상을 받았다.
유제품·빙과류 부문에서는 GS리테일의 락토핏 마시는 유산균 오리지널, hy의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당밸런스, 신세계푸드의 유아왓유잇 체다향 치즈 슬라이스, 일동후디스 후디스 산양유 단백질 등이 수상했다.
스낵·제과 부문에서는 인크레더블의 그라놀로지 오트펍스, GS리테일의 유어스 틈새나쵸, 농심의 빵부장, 오리온의 키위 알맹이 등이 대상에 선정됐다. 초콜릿 부문에서는 BGF리테일 겟 밸런스 제로슈거 초코별 스낵, 대상의 아몬드 카라멜초코, 캐슈넛 밀크초코 등이 대상을 받았다.
베이커리·디저트 부문에서는 오뚜기의 가벼운 백도, BGF리테일의 소소하게 녹차 쌀푸딩, GS리테일의 브레디크 골든단팥빵, SPC삼립의 프로틴 저당 모닝빵 테프·제로슈가 수플레 치즈케이크, GS리테일의 유어스 모찌리도후, 더브레드블루의 저당호두파이 등이 상을 받았다.
소스·양념 부문에서는 샘표의 차오차이 동파육볶음 소스, 오뚜기 로우 슈가 허니머스타드, 구본일발효의 쌀 펄발사믹, 커피 앤 칵테일의 모닌 제로 시럽 바닐라 등이 대상을 받았다.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제품 16개가 ‘컨슈머초이스’를 수상했다.
31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대한민국푸드앤테크대상’ 일반식품에서 인크레더블은 ‘베네핏 제로슈가 알룰로스’, ‘그라놀로지 하루그래놀라바 시그니처’, ‘그라놀로지 시그니처 그래놀라’ 3개 상품으로 컨슈머초이스 상을 받았다.
오아시스는 국내산 오징어 듬뿍 해물완자, 무항생제 토마토 치킨미트볼 2개 상품이 컨슈머초이스상을 받았다. 해태제과식품은 예쓰의 케이크 가게, 크라운제과는 흑미하임으로 컨슈머초이스를 수상했다.
소미노의 ‘소미노 유기농 더 매실’, 에스와이솔루션의 ‘베지미트볼’, 라티브의 ‘맛있게 만든 에이비시 주스’, ‘커피앤칵테일의 ‘잇츠 마누카 캔디 레몬’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지에스리테일이 내놓은 ‘요아정 허니요거트 초코볼 파르페’, ‘푸냥이 푸딩 젤리 포도’도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상품으로 집계됐다. 홈플러스는 ‘당당 허브 후라이드 치킨콤보’로 상을 받았다.
간편식품 부문에서는 호랑이의 ‘우불식당 즉석우동’, 칠갑농산의 ‘들기름 메밀막국수’가 수상했다.
3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푸드앤테크대상’에서 푸드테크 업체 3곳이 푸드테크 기술 부문 대상을 받았다.
수상 대상은 달걀·우유 없이 식물성 재료만으로 아이스크림을 구현한 에어소프트닝(Air-softening) 기술을 선보인 풀무원식품, 이종 유래 줄기세포 ‘세크리튬’을 통한 대체배양육 기술을 개발한 심플플래닛, 커피 캡슐처럼 내려 마실 수 있도록 한 차(茶) 캡슐과 추출머신 기술을 선보인 메디프레소다.
심사를 맡은 송진호 마그나인베스트먼트 부사장은 “푸드테크(Food-tech)는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 IT·BT·로보틱스 등 우리가 혁신적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기술이 결합한 신산업으로, 농식품 산업에서 부가가치를 올리고 있다”며 “올해는 제품 내 기술력의 확장성과 원천적인 생산성에서 얼마나 혁신적인 발전을 하는지에 초첨을 맞춰 심사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부가 후원하는 2024 대한민국푸드앤테크대상은 식품 분야 유망한 기업과 스타트업을 발굴해 널리 알리고, 급변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와 시장 변화를 공유하는 행사다.
2021년 처음 개최한 대한민국식품대상을 2022년 푸드테크 분야까지 확대하면서 올해로 4회째 열렸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10% 많은 271개 제품이 출품됐다. 이 중 공정한 심사를 거쳐 96개 제품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올해 식품업계를 빛낸 일반 식품군 8개 제품이 ‘2024대한민국푸드앤테크’ 시상식에서 ‘베스트오브2024′를 받았다. 베스트오브2024는 부문별 최고 제품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3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대한민국푸드앤테크대상에서 메디프레소의 ‘진쌍화 티캡슐’이 일반식품 음료 부문의 베스트오브2024를 수상했다. 진쌍화 티캡슐은 몸에 좋은 한방재만을 가공해 새로운 제형인 캡슐화에 성공한 제품이다. 건강에 좋은 차를 간편한 형태로 먹을 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육류·수산물·식품성 가공 부문에서는 동원에프앤비의 ‘동원맛참 고소참기름’이 베스트오브2024를 수상했다. 기존 기름 대신 참기름 소스가 들어있어 일반 참치캔 제품과 달리 밥에 바로 먹을 수 있는 제품이다.
유제품·빙과류에서는 에치와이의 ‘당밸런스’, 룰루바이오팜의 ‘그릭한끼 요거트’가 수상했다. 당밸런스는 당 함량을 기존 제품 대비 70% 이상 줄인 저당 유산균 음료다.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기능성 소재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함유했다. 그릭한끼 요거트는 달지 않은 콩포트를 오리지널 하드그릭 요거트에 담아 건강과 맛을 동시에 잡은 것이 수상에 주효했다.
스낵제과 부문에서는 필립월드인터내셔널의 ‘1860조셉말린 피쉬앤칩스 with 소스’가 꼽혔다. 피쉬 앤 칩스를 조리 없이 즉석에서 즐길 수 있는 간편한 제품으로 실제 생선 연육이 포함된 감자튀김이다. 실온에서 1년간 보관할 수 있다.
초콜릿 부문에서는 대상의 ‘마카다미아 요거초코’가 수상했다. 마카다미아 식감에 요거트 풍미를 더했다.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도 함유시켰다.
국산 가루쌀로 만든 상품도 나란히 베스트오브2024를 받았다. 베이커리·디저트 부문에서는 코리아세븐의 ‘가루쌀 우유크림 카스테라’가 꼽혔다. 가루쌀로 만든 글루텐 프리 상품으로 소화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는 카스테라다. 소스·양념 부문은 밀가루 사용 없이 국산 가루쌀로 만든 카레인 오뚜기의 비밀카레가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