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계리RM팀 부장
2015 ~ 2017 삼성생명 IFRS T/F
2013 ~ 2014 삼성생명 ERM 부서
2008 ~ 2012 삼성생명 보험RM 부서
2002 ~ 2007 삼성생명 ALM 부서
2015 ~ 2017 Samsung Life IFRS T/F
2013 ~ 2014 Samsung Life ERM Team
2008 ~ 2012 Samsung Life Insurance Risk Management Team
2002 ~ 2007 Samsung Life ALM Team
2017 미래금융포럼 특별세션
위기의 보험사 미래는...달라지는 회계기준과 4차 산업혁명
보혐연구원 연구위원
현 삼정KPMG 금융보험계리법인 파트너 재직
2013~2016 / 딜로이트 컨설팅 IFRS17 프로젝트 리더
2007~2013 / 처브라이프(구. 뉴욕생명, 에이스생명) 컨트롤러 역임
2003~2007 / 딜로이트 안진 ERS 보험계리 컨설팅 수행
1999~2001 / 삼성생명 계리파트 근무
1999 / 서울대학교 수학과 졸업
~Present / SAMJONG KPMG Actuaries Partner
2013~2016 / Deloitte Consulting IFRS17 project leader
2007~2013 / CHUBB LIFE (Formerly known as ACE Life & New York Life) Controller
2003~2007 / Deloitte Anjin ERS Actuarial Consulting
1999~2001 / SAMSUNG Life Actuarial team member
1999 / Major in Mathematic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미래금융포럼 특별세션
위기의 보험사 미래는…달라지는 회계기준과 4차 산업혁명
한국회계기준원 책임연구원
2007.5~ 현재 한국회계기준원 책임연구원 전)KIS 채권평가, 가립회계법인,크레디리요네은행 근무
2016. 경희대학교 회계학 석사 1998. 경희대학교 회계학과 졸업
2007.5~ Current.Korea Accounting Institute Previous) KIS pricing, Caleb Accounting Firm, Credit Lyonnais Bank
2016.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98. Kyung-Hee University
2017 미래금융포럼 특별 세션
위기의 보험사 미래는...달라지는 회계기준과 4차 산업혁명
금감원 해외진출지원팀장
세션 1
해외진출 현황 및 문제점
[경력]
2014-현재, 금융감독원 금융중심지지원센터
2011-2013, 금융감독원 자본시장조사국
2007-2010, 금융감독원 자산운용서비스국
[학력]
서울대 경영대학원
고려대 경제학과
Lim Hyoung Jo
Head of Overseas Advancement Support Team, Financial Hub Korea,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Career background]
2014-Present, Financial Hub Korea,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2011-2013, Capital Market Investigation Department,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2007-2010, Asset Management Examination Department,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Education backgroud]
Seoul National University, M.A. in Business Administration(Finance)
Korea University, B.A. in Economics
해시드 대표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특수목적 고등학교인 서울과학고등학교를 조기 졸업하고, 이후 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했다. 대학 졸업 후 10여 년간 IT 스타트업 분야에서 일했다. 그 중 온라인 인공지능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회사인 노리(Knowre)의 CPO(Chief Product Officer)로 5년 동안 활약하며 창업가의 능력을 입증하였다. 이외에도 소셜 데이트 서비스인 '정오의 데이트'를 만들어 운영했고, '아만다'라는 서비스에 투자하며 서비스 기획에도 도움을 줬다.
2014년 서울디지털포럼 행사에서 발표한 김서준 대표는 코빗의 유영석 대표를 만나 암호화폐가 거래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당시에는 블록체인에 큰 가치를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2015년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내방했을 때 콜버스의 대표인 박병종 대표와 스마트 계약에 대해 이야기하며 블록체인 산업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6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스타트업에 엔젤 투자를 하면서 이더리움을 알게 되었고 그저 흥미로운 IT 기업쯤이라고 생각하며, 투자개념으로 토큰을 샀다. 이후로 암호화폐에 광풍이 불었고 이런 과정을 겪으며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발행하고 경제를 만드는 토큰 이코노미가 혁신적인 세상을 만들 수 있겠다는 신념을 갖게 되었다.[1]
결국 김서준은 2017년 블록체인 분야 전문 투자업체인 해시드(hashed)를 설립하게 되었다. 회사를 설립한 목적은 현재 주식회사 위주의 자본주의 시스템의 한계점을 블록체인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400년 전 최초의 주식회사인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설립될 때부터 지금까지 주식회사 모델이 자본주의 시스템을 지배해왔고, 이는 매우 성공적으로 정착했지만, 특정 목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주식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해 사업을 하다 보니 어떻게든 많은 마진을 남기려 하고 그렇게 생긴 이익 대다수를 몇몇 대주주들이 흡수해 버린다는 한계점을 지적했다. 김서준 대표는 이와 같은 주식회사의 약점을 블록체인으로 극복할 수 있다며, 배차 서비스인 우버를 예로 설명했다. 가령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D우버, 즉 탈중앙화된 우버가 있다고 할 때, 승객과 운전사는 D우버를 이용한 대가로 토큰을 주고받고 이 토큰은 다음에 D우버를 이용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고 현금으로 환전할 수도 있다. D우버가 인기를 끌어 기업이 크게 성장하게 되면 승객이나 운전사는 보유하고 있는 토큰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초기에 환전한 사람보다 훨씬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이 김서준 대표가 말하는 주식회사 모델의 결점을 보완해 나갈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경제 모델인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ics)’이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그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성공의 과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이 만들어져 주식회사 모델의 결점을 보완한다.
2018 미래금융포럼 세션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
세션 1
해외진출 현황 및 문제점
성균관대 경영대학원 교수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주목받는 이동 수단 중 하나는 ‘플라잉카’로 불리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다. 최근 모건스탠리는 UAM 시장 규모가 2020년 70억달러에서 2040년 1조500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평균 성장률이 30.7%에 달한다. 이에 현대자동차와 GM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잇따라 UAM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UAM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신재원 현대차 UAM사업부장(사장)은 20일 열리는 ’2021 미래모빌리티 포럼'에서 ‘UAM의 기회와 도전과제’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그는 이날 강연에서 UAM이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이유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고, 현대차가 그리는 UAM 생태계에 대해 언급할 예정이다. 규제와 보안, 사회 기반 시설 등 UAM이 직면한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신재원 사장은 미 항공우주국(NASA) 고위직 출신으로, 현대차가 UAM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19년에 영입한 인물이다. 1989년 나사에 입사해 30년 넘게 항공을 연구했으며, 항공 및 초음속 여객기 연구원을 거쳐 2008년부터 11년 동안 항공 연구기술개발국 국장을 지냈다.
현대차그룹은 UAM 사업 비중을 30%까지 키우겠다는 비전 아래, 승객과 화물 운송 시장 모두를 아우르는 제품군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6년에는 화물용 무인 항공 시스템(UAS)을 선보이고 2028년에는 도심 운영에 최적화된 UAM을 출시할 예정이다.
조선미디어그룹의 경제전문 매체 조선비즈가 주최하는 ’2021 미래모빌리티포럼'은 세계적인 자동차 전문가 페르디난트 두덴회퍼 뒤스부르크 에샌대 석좌교수가 ‘누가 미래의 모빌리티를 지배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에 나선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팬텀AI를 이끌고 있는 조형기 대표는 ‘자율주행 산업의 현재와 미래’,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은 ‘모빌리티 서비스의 미래’에 대해 강연한다.
’2021 미래모빌리티포럼'은 20일 오후 2시부터 조선비즈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볼 수 있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사전등록자에게만 URL 주소를 공지한다. 접수·문의는 (02)724-6157 또는 이메일(event@chosunbiz.com)로 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mobility.chosunbiz.com) 참조.
=변지희 기자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는 모든 교통수단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서비스, 이른바 ‘마스(MaaS·통합 모빌리티 서비스)’가 주도권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의 발전으로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하나의 플랫폼에서 자동차는 물론 고속철도·항공기·라스트마일 등 모든 이동수단을 관리하고 소비자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은 20일 열리는 ’2021 미래모빌리티포럼'에서 마스 플랫폼의 역할과 소유에서 구독으로 이동하는 비즈니스의 진화 등 모빌리티 플랫폼의 미래에 대해 강연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해 12월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종합청사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는 플랫폼 기반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소개하고, 앞으로 자율주행 서비스가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세종시 자율주행 서비스는 안전을 위한 운전자가 동승하지만 실제로 운전은 하지 않는다. 서비스 이용 대금 결제는 미리 앱에 등록해 둔 신용카드를 통해 자동으로 빠져나간다.
특히 이재호 소장은 미래 모빌리티 시대 데이터의 사업적 가치가 훨씬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통해 볼 수 있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트렌드,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전례 없는 시기 사람들의 이동 생활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등 흥미로운 사례를 통해 데이터가 어떤 부가가치를 창출하는지,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지식을 나눈다.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를 졸업한 이재호 소장은 미국 조지아공대 셸러비즈니스쿨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성균관대 박사 과정을 밟은 뒤 LG CNS 연구개발센터, 현대차 자동차산업연구실,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정책실을 거쳐 2018년 카카오모빌리티에 합류했다.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회 위원과 세종특별자치시 스마트도시추진본부 위원을 맡고 있다.
조선미디어그룹의 경제전문 매체 조선비즈가 주최하는 ’2021 미래모빌리티포럼'은 세계적인 자동차 전문가 페르디난트 두덴회퍼 뒤스부르크 에샌대 석좌교수가 ‘누가 미래의 모빌리티를 지배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에 나선다. 현대차 (231,500원 ▲ 4,500 1.98%)의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업을 총괄하는 신재원 현대차 UAM사업부장(사장)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자율주행 스타트업 팬텀AI를 이끌고 있는 조형기 대표는 각각 ‘UAM의 기회와 도전과제’ ‘자율주행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2021 미래모빌리티포럼'은 20일 오후 2시 조선비즈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볼 수 있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사전등록자에게만 URL 주소를 공지한다. 접수·문의는 (02)724-6157 또는 이메일(event@chosunbiz.com)로 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mobility.chosunbiz.com) 참조.
=연선옥 기자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16 미래금융포럼 특별대담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 Korea in the Age of Secular Stagnation
2001- 현재, 서울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2010-2014, 금융 정보 학회 회장
2010-2011, 한국 산업 진흥회 회장
2010-2011, 공정 거래위원회 대기업위원회 위원장
2008-2011, 한국 계량 경제 학회 이사
2008-2010, 한국 경제 학회 이사
2008-2009, Journal of Money and Finance 편집자
2007-2011, 공정 거래위원회 경쟁 정책 자문위원회 위원
2007-2010, 예금 보험 공사 이사
2007-2009, 자산 관리 포럼 회장
2007-2009, 자산 운용 협회 자율 규제위원회 위원
2007-2009, 공정 거래위원회 카르텔 자문위원회 위원
2007-2008, 재정부 전략 금융위원회 위원장
2006-2009, 금융위원회 금융 개발위원회, 금융 소위원회 위원장
2006-2008, 금융위원회 공공 금융 기관 경영 평가 예산위원회 위원장, 11 월
2006-2008, 서울 경제 학회 편집자
2006-2007, 한국 금융 협회 사무 총장
2005-2007, 공정 거래위원회 시장 구조 자문위원회 위원
2004-2006, 공정 거래위원회 카르텔 자문위원회 위원
2004-2006, 한국 계량 경제 학회지, 경제 이론 및 계량 경제 학회지, 편집자, 12 월
2004-2005, 공정 거래위원회 IT 산업 경쟁 정책위원회 위원
2003-2007, 한국 경제 학회 편집 위원
[교육 배경]
1992 년 Ph.D. 경제학, UCLA, 로스 앤젤레스, 미국
1989, M. Phil OR / MS (회계학 전공), Yale University, New Haven, 미국
1986, MA Economics, UCLA, 로스 앤젤레스, 미국
1982, MS Operations Research, 한국 과학 기술원, 서울, 한국.
1980, 서울 대학교 경제학 학사
조선비즈 논설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