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 시대 자원개발
“자원 개발이 미래 에너지 산업이다.”
2015 미래에너지포럼에서 전문가들은“저유가 시대인 지금이 바로 자원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자원 개발을 ‘자원 안보’ 나 ‘자원 외교’ 시각에서 보지 말고, 경제적으로 유망한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정우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현재 유가가 떨어진 근본 원인은 수급 차”라고 진단했다. 글로벌 수요는 줄었지만 공급 측면에서는 과잉 현상이 일어나며 수급 차가 커졌고, 그 결과로 유가가 떨어졌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공급 과잉의 원인으로는 미국의 셰일 가스 개발을 꼽았다.
정 연구위원은 이어“유가가 떨어져 많은 에너지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한편으로 이 시기를 이용해 자산을 불리고 새 사업을 확대하려는움직임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4월 로열더치쉘이 영국 가스 기업인 BG그룹을 700억 달러(약 78조원)에 인수한 것을 예로 들었다.
정 연구위원은 이어“유가가 떨어져 많은 에너지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한편으로 이 시기를 이용해 자산을 불리고 새 사업을 확대하려는움직임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4월 로열더치쉘이 영국 가스 기업인 BG그룹을 700억 달러(약 78조원)에 인수한 것을 예로 들었다.
정 연구위원은 “과거에도 유가가 떨어졌던 시기에 대형 인수합병(M&A)이 많았다”며 “중국 최대 국영 석유회사인 시노펙 회장도 최근 자산을 매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고 했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자원 개발 투자에 대해 역사가 짧고 규모도 미미하다고 했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는 아직 투자비 회수를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면서 “자원 개발에 나선 공기업이 검찰 조사 등을 받으면서 투자가 줄어드는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의 자원 개발 투자가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올라서야 한다고 했다. 단순히 돈을 투자하는 수준에서 직접 자원을 탐사하고 시추하는 서비스와 사업을 개발하는 영역 등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도 “세계에서 돈을 제일 많이 버는 회사들은 에너지 회사”라면서 “자원 개발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 산업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고 진단했다. 전력 산업이나 정유 산업을 에너지 산업으로 본다는 것이다. 진짜 에너지 기업은 자원 개발회사라고 허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이어 연구개발(R&D)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교수는 “셰일 혁명은 미국 회사들의 R&D 덕분에 일어난 것”이라면서 “큰돈을 벌려면 R&D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또 우리나라와 비슷한 시기에 공기업을 통해 자원 개발을 했지만, 훨씬 큰 성공을 거둔 중국을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이 공기업끼리 경쟁을 시키고, 투자 과정에 정부가 개입하지 않았다는 점을 배워야 한다는 얘기다.
박용수 RG에너지자원자산운용 대표는 해외 자원 개발을 해외 투자 개념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자원 외교와 자원 확보는 자원 개발 사업의 핵심이 아닌 부수적인 요소”라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낮아진 지금은 국내에 아무리 투자해도 평균 이하 수익밖에 안 나오는 만큼 해외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희준 에너지이노베이션 파트너스 대표는 “셰일 개발은 토목공사”라며 연관 산업의 기회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셰일 가스 개발에서 돈을 많이 번 회사가 철도와 항만 등 인프라회사”라며 “저유가 시대인 지금이 투자의 최적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