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SME AX 리더스포럼] “AX 첫걸음은…자체 개발·정부 지원 결정하는 것”

박용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인공지능 전환(AX)을 고민하는 기업이라면 우선 자체적으로 AI를 개발할 것인가, 아니면 정부 지원을 받아서 AX를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정책관은 26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SME AX 리더스포럼’에서 진행된 종합 토론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 지원을 받겠다고 결정한 중소기업은 중기부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찾거나, 지방의 중소기업청, 기술정보진흥원 등에 질문해 정보를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은 김도현 국민대 경영대학원 원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부석준 경상국립대 교수, 오경진 태림산업 대표, 김세훈 BCC글로벌 한국 대표, 박 정책관이 함께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AX 도입 과정에서 비용 부담, 인력 부족 등 중소기업의 어려움에 공감하면서도 “AI 전환이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좌측부터 오경진 태림산업 대표이사, 김세훈 BCC글로벌 한국 대표, 김도현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원장, 부석준 경상국립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박용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정책관이 26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SME AX 리더스 포럼’에서 종합토론을 하고 있다. /조선비즈

오경진 태림산업 대표는 ‘AX를 위한 첫 단계’로 ‘조직원의 참여’를 강조했다. 오 대표는 “AI의 적용은 단위 공정의 해결을 위해서가 아니라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한 기초 체력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며 “이를 위해 회의 체계를 만드는 등 조직을 구성하면, 이후 AI를 어떻게 도입해야 할지 로드맵이 나온다”고 말했다.

부석준 경상국립대 교수는 “기업의 노력에 앞서 중소벤처기업의 AI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그는 “기업들은 자신이 어디에 있고, 어디까지 준비해야 하는지 몰라 혼란스러워 한다”며 “진단 시트를 마련해 단계별로 컨설팅을 지원하는 제도가 생기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시대에 가장 중요한 덕목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김세훈 BCC글로벌 한국 대표는 “AI에게 정확하게 질문만 하면 회계, 세무, 재무 등 기업 업무를 AI가 대부분 대신할 수 있다”며 “AI 시대에는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X를 위해서는 어떤 AI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현장 질문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은 “가능하면 손에 잡히는 것을 많이 쓰는 것이 답”이라고 했다.

#2025 SME AX 리더스포럼

=김정은 기자

답글 남기기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