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테크 콘퍼런스 ‘스마트클라우드쇼 2025’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막을 올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조선비즈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AI와 미래(AI and the Future)’를 주제로 인공지능(AI) 기술의 최신 동향과 사회·산업 전반의 변화를 짚는다. 이날 행사에는 이른 아침부터 정부·학계·산업계 인사 300여명이 참석해, AI가 열어갈 새로운 기회와 변화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개막식에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축사를 대독한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 확보, 국산 AI 반도체 실증, 피지컬(physical) AI 개발 지원 등을 포함한 독자 AI 생태계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이 자리가 AI 기술의 발전 방향성과 함께 사회적 함의까지 논의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영상 인사말을 통해 “서울시는 내년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구축해 행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도입할 계획”이라며 “오늘 논의하는 아이디어들이 서울을 글로벌 스마트시티로 도약시키는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AI가 텍스트·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넘어 로봇·자율주행 등 현실 세계로 확장하는 피지컬 AI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로봇 산업도 챗GPT와 같은 전환점을 맞을 것”이라고 선언한 것처럼, 로봇과 AI의 결합은 새로운 성장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조연설 무대에서도 피지컬 AI의 미래가 핵심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첫 번째 기조연설은 피지컬 AI 분야 권위자인 켄 골드버그 UC버클리 교수가 맡는다. 엔비디아와 함께 제조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 그는 ‘AI와 로봇이 이끄는 생산성 혁명’을 주제로, 차세대 로봇 기술이 제조업·농업·의료 분야에 가져올 변화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의 도나 사르카르 접근성 기술 책임자가 두 번째 연사로 나서 스스로 판단하고 임무를 수행하는 ‘AI 에이전트’가 어떻게 기업의 업무를 지원하고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해 발표한다.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 에코백스의 데이비드 챈 CEO는 ‘가정용 로봇의 진화와 혁신’을 주제로 AI 기반 가전 로봇의 미래를 조망한다. 이어 장병탁 서울대 교수는 ‘K-휴머노이드’와 한국형 AI 전략을 중심으로 발표에 나선다. 네 연사는 윤성로 서울대 교수를 좌장으로 한 패널 토의에서 AI 산업의 기회와 과제에 관해 대담을 나눈다.
오후 세션에는 글로벌 빅테크와 보안·클라우드·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무대에 오른다. 전 세계 반도체 설계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Arm의 모하메드 아와드 수석부사장은 ‘AI의 미래는 Arm에서 설계된다’를 주제로 AI 반도체 전략을 공유한다.
이스라엘 보안 기업 체크포인트의 댄 카르파티 AI센터 총괄은 AI 시대의 사이버 보안 위협과 대응 전략을 공유하고, 쟈오 왕 화웨이 클라우드 아태지역 부사장과 마이크 오길 우버 APAC 공공정책 총괄이 각각 클라우드와 모빌리티 산업에서의 AI 혁신에 대해 발표한다.
국내에서는 이민정 에스원 부사장, 주민식 LG CNS AI선행기술연구소장,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리더 등이 연사로 나선다. 이들은 AI와 물리보안, AI 에이전트, 생성형 AI 비즈니스 사례 등 다양한 현장 목소리를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