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반도체, 자동차 등 제조 분야에 AI를 도입해 시너지를 내야 합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기업의 목표와 전략에 맞춰 AI를 도입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국내 AI 권위자로 꼽히는 조성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AI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은 26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SME AX 리더스 포럼’에서 ‘한국의 AI 기반 혁신 전략’을 주제로 기조 강연에 나섰다. 특히 한국 제조업에 어떻게 AI 기술을 적용할지, 그 기반이 되는 중소기업의 ‘AI 전환(AX·AI Transformation)‘ 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조 위원장은 AX는 기업·조직이 AI 기술을 전략적으로 도입해 업무 방식과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조 위원장은 “AI 원천기술은 우리가 따라갈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우리가 잘하는 조선, 반도체, 자동차 등 제조 분야에 AI를 도입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컴퓨팅센터를 만들어 여러 기관, 기업 등이 쓸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AI 융합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우리의 언어와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AI, 외산 기술 의존과 데이터 주권문제를 해결하는 ‘소버린 AI’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중소기업의 AX 전략을 강조했다. 그는 “전략적 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중소기업이 지닌 어려움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목적이 분명한 전략적 AI 도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비즈니스 목표와 투자 대비 수익률(ROI)을 설정하는 것도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조 위원장은 “그동안 기업인의 경험과 직관으로 했던 의사결정을 AI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객관화해 회사 성장을 위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AI를 활용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등 비즈니스 혁신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또한 “사람이 하는 일을 AI가 하게 되니 윤리, 보안 문제도 대두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며 “이런 문제를 컨트롤할 수 있는 AI 안전연구소를 출범하는 등 사회경제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