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ESG] “ESG 재무제표, 이제는 ‘파일럿 테스트’ 준비할 때”

국내 회계 전문가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향후 재무제표에 반영될 것이란 전망에 의견을 같이했다. 다만 아직은 출발 단계이고 갈 길이 멀기에 금융당국과 회계업계, 학계, 기업이 합심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12월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패널 토론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 /조선비즈
12월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한 패널 토론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 /조선비즈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는 금융당국과 회계업계, 학계, 기업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2026년 이후 본격화할 ESG 공시에 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ESG 경영이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그에 따른 재무적 영향은 무엇인지를 짚었다.

이날 패널 토론에는 전규안 숭실대 회계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가 참여했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이동익 우리금융지주 회계부장은 금융업 관점에서 ESG 재무제표가 바뀌어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실무자 입장에서 재무제표 작성, 즉 회계 처리를 하려면 측정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유관기관이 이에 관한 연구에 나서주기를 요청했다.

이동익 부장은 “중요도와 기업의 비용 유입 관점도 동시에 고려돼야 하기에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며 “재무제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회사부터 차례대로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기업으로선 외부 평가가 가장 신경 쓰일 수밖에 없는데, 방법과 기준이 일관되고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 회계감사부문 파트너는 “기후변화처럼 회계에서 외부효과로 인식했던 걸 내부 기회비용으로 전환해 나가는 단계”라면서 “결국 기업이 발생시킨 탄소 등이 미래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허규만 파트너는 “아직까진 재무제표를 감사할 때 ESG 부분에 대한 세밀한 감사가 체득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회계업계에선 지속가능성 관련 인증과 방법론을 꾸준히 개발하고 이와 관련한 내부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이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비즈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이 12월 4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비즈

권세원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ESG의 재무제표 반영에 관한 ‘파일럿 테스트’(시범 운영)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권 교수는 “재무제표 주석에 기후변화를 언급하는 식으로 ESG 공시를 선제적으로 조금씩 적용하면 기업은 어느 부분이 힘든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른 투자자와 기업이 ESG 공시를 어떻게 하는지 비교하고 대책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했다.

이수미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상임위원은 “지속가능성 기준 관련해선 공개 초안이 발표됐고, 200여개의 의견을 수렴해 확정 기준서에 대한 제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아직까진 전통적인 회계 기준과 지속가능성 기준이 구분되다 보니 ESG 관련 공시가 활발하진 않은 것 같다”고 했다. 이 상임위원은 “앞으로 더 많은 의견을 듣고, 반영해 나가겠다”고 했다.

각계 제안을 들은 정주은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금융회계팀장은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중장기적으로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한국회계기준원 등과 협의해 (ESG가) 재무제표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지원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2024 ESG

= 정민하, 이영준, 이호준, 현정민 기자

답글 남기기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