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ESG] 이준일 경희대 교수 “환경 비용 재무제표 반영 안하면 왜곡 발생”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는 4일 “환경 등 ESG와 관련한 비용이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이윤만을 극대화하면 자원 배분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가 12월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4 THE ESG 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
이준일 경희대 회계·세무학과 교수가 12월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가 주최한 '2024 THE ESG 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

이 교수는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린 ‘2024 THE ESG 포럼’에 참석해 ‘주요 글로벌 기업의 기후위험 관련 재무보고 공시 사례’를 주제로 강연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포럼은 한국공인회계사회가 후원했다.

이 교수는 “올해는 기후 위험을 온몸으로 체감한 해였다”며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조처를 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파리기후협약”이라고 했다.

파리기후협약을 선언한 국가는 5년마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한국도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 목표는 5년마다 갱신해야 한다. 내년 2월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2035년을 기준으로 한 감축 목표를 또 제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최근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협약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움직임도 있다.

이 교수는 ESG를 재무제표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제대로 반영하지 않던 비용을 반영하는 과정이란 이유에서다. 그는 IFRS에서 “ESG 관련 이슈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등을 통해 논의되고 있긴 한데, 가장 중요한 정보인 재무제표에는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공시 정보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기업이 탄소 과다 배출 공장을 없애겠다고 발표했다면 재무제표에도 일관되게 해당 내용이 반영돼야 하는데, 지금은 이런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그는 “유럽 일부 기업에서 시도는 되고 있지만 많지 않다. 설령 일부 반영된 사례가 있더라도 구체적인 내용은 공시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며 “유럽 국가들은 기후 관련 이슈로 수출 기업에 대한 제재도 고려 중이다. 우리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산화탄소 배출 등 외부효과에 대한 비용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윤만을 극대화하는 것은 자원배분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며 “ESG를 재무제표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은 관련 비용을 측정해 반영하려는 시도로 생각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은 현재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을 마련했고, 후속 기준을 준비하고 있다. 의무화 시기는 2026년 이후지만 확정되지는 않은 상태다. 이 교수는 “기업의 목표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인데, 문제는 회계적으로 측정하는 이윤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라며 “수익에서 각종 비용을 뺀 뒤 남은 이익이 주주의 몫으로 귀결되는데, 원자재·인건비 등은 고려하지만 환경은 고려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따라서 단순히 이윤 극대화를 말해서는 안되며 ESG를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2024 ESG

= 박지영 기자

답글 남기기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