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들의 ‘탄소중립’ 경쟁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탄소중립이 기업과 금융사의 수익과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김성우 김앤장 법률사무소 환경에너지연구소장은 28일 조선비즈가 개최한 ‘2022 미래금융포럼’에서 “탄소중립 시대에 미리 대응하지 못하면 3년 후에는 지금은 우리가 생각하지 않는 위기가 현실화할 것”이라면서 “탄소중립 전환에 실패한 기업과 금융사는 매출과 투자수익이 감소하고 비용은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김 소장은 “이미 주요 선진국은 탄소중립 관련 정책과 제도를 만들며 산업 구조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주요 사례를 소개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달 기후공시의무화 규정 초안을 발표했고, 미국 정부는 코로나 회복 자금에 기후변화대응 부문 비중을 키워 담은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동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 소장은 “재작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중국의 경우 이미 전세계 전기차 배터리 내 핵심 금속 소재 유통의 85%를 통제하고, 태양광 패널 소재 웨이퍼의 97%를 공급하고 있다”면서 “세계 상위 10대 풍력 태양광 기업 중 7곳이 바로 중국 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역시 탄소중립을 선언한 일본도 공적연금은 파리협정이 시행되면 일본 주식 시가 총액이 43%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면서 “바로 탄소중립 관련 기술 특허 때문”이라고 했다.
김 소장은 “우리나라 기업들과 4대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통해 탄소중립을 선언해 놓은 상태이고, 이제 본격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고, 대체 투자도 발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금융투자사들의 대응 전략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요지는 ‘탄소배출량 감축 특성을 고려한 수단(RE100·탄소배출권)을 선택하고’, ‘투자대상을 발굴하는 것’이다.
김 소장은 “감축 특성을 고려한 수단을 선택해야 한다”면서 “투자 대상 회사들의 배출을 동시에 감축하는 것 뿐 아니라 금융사의 오피스에서 배출하는 탄소량도 줄이는 방법도 있다”고 했다. 그는 “금융회사가 오피스에서 쓰는 전기를 재생에너지로 바꾸는 RE100 이행 수단”이라면서 “단순히 탄소 배출 감축 비용만 분석할 게 아니라 품질, 정책 전망과 연계해서 봐야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투자대상을 발굴해야한다”면서 “지난 4월 UN산하 과학단체에서 기후감축에 관한 보고서 냈는데 이 안에 기술별로 감축의 가치와 그 영향이 얼마나될지가 쭉 나열돼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투자처를 찾을 때는 탄소중립 관련 특허데이터를 찾아보고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어 탄소중립 집중 기술데이터를 분석해서 기업 인수와 투자를 판단하는 식”이라면서 “탄소중립 관련 기술의 양과 질을 따져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가늠하고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라고 했다.
김 소장은 “탄소중립은 더 이상 하나의 환경적 요소이기 보단, 수익에 관한 요소가 됐다”면서 “탄소중립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주주 등 이해관계자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