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과 북미 정상회담은 동북아 수퍼그리드 사업 추진에 기회의 창을 열어줬다."(손병권 중앙대 교수)
"남한, 북한, 러시아로 이어지는 'J자형 전력 협력 모델'로 우리가 주도권을 쥘 수 있다."(양준호 인천대 교수)
조선미디어그룹의 경제전문매체 조선비즈가 21일 서울 소공동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2018 미래에너지포럼'의 첫번째 세션 '동북아 에너지 협력과 수퍼그리드'에 참여한 토론자들은 동북아 수퍼그리드 사업이 한국에 기회가 될 것이라는 데 공감하며 이같이 말했다.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한국‧일본과 중국의 전력망을 연결해 중국‧몽골‧러시아의 풍부한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다른 나라에 공급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수급체계를 구축하려는 사업이다. 토론은 김상협 우리들의 미래 이사장의 진행으로 로버트 존스턴 유라시아그룹 CEO, 장길수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양준호 인천대 동북아경제통상대 교수, 손병권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가 함께했다.
손병권 교수는 "신북방정책을 만들어갈 기회의 창이 열렸을 때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미국의 반감, 북한의 잠재적 위협 등 지정학적 문제를 잘 조정해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동북아 수퍼그리드 사업을 주도해나가지 않도록 여러 회원국이 들어가야 하는데 특히 일본이 참여하는 게 중요하다"며 "한국은 또 동북아 수퍼그리드를 추진해나갈 때 북한과 다른 국가 간의 중개국 역할을 잘해나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안보와 각국 간의 상대적 이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국가마다 대통령이 바뀌는 해가 다르고 그때마다 정책이 바뀌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업 추진 초보적인 단계에서라도 협정과 협약을 만들어야 많은 국가가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길수 교수는 "한국은 전력 수요가 수도권으로 집중됐는데, 전력망 수요를 366㎞ 거리의 한국과 중국, 460㎞ 거리의 한일 연계로 대응할 수 있다"며 "동북아 수퍼그리드가 완성되면 중국에서 2GW 규모의 전기를 끌어 수도권에 보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파수가 다르고 해저로 전력을 연결해야 하는 특수사항 속에서도 기술적인 문제도 거리상의 문제도 없지만, 운영방식에 있어 각국 공동으로 주도권을 가져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현재 40개의 동북아 수퍼그리드의 핵심 기술 HVDC(고압직류송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지만, 한국은 두 개의 HVDC 프로젝트만 운영 중이고 예정된 것도 4개 뿐이라 경험이 충분하지 않고 기술적으로 뒤처졌다"며 "기술적 차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운영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양준호 교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가 국내 전력시장의 안정과 동북아 경제 통합 차원이 아니라 '남북경협' 차원에서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생산된 전기가 북한 동해안을 거쳐 남한 경기북부로 들어와 다시 북한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남·북·러 J자형' 전력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남·북·러 J자형 모델은 선로길이가 약 1200㎞이며, 가공 직류송전은 약 3GW 규모다. 손 교수는 송전선로 이용률이 75% 정도이면 8년 후에 약 3조5000억원 가량의 투자비가 회수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양 교수는 "미국, 일본과 같은 동맹국을 자극하지 않고 북한에 시급한 전력을 지원해주는 것이 키워드"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러 J자형 모델을 통해 극동 러시아 에너지 자원을 공동으로 개발, 활용해 북한의 협력을 유도하고 또 북한에 대한 전력지원을 약속하는 것을 우리 정부가 먼저 제안하고 구축하면 동북아 수퍼그리드 프로젝트에서 우리가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이라며 "남북관계가 더욱 개선될 것은 물론 지정학적으로 봐도 전력협력을 통해 북한을 껴안아 동북아 지역의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는 대의명분 차원에서 봐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동북아 수퍼그리드 프로젝트에서 언급되고 있는 가스관 연계사업은 제약이 있을 것으로 봤다. 양 교수는 "동북아 지역 내 가스관 연계 사업은 LNG 수출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미국의 반발을 야기할 수 있는데 남북러 J자형 전력 협력은 러시아의 참여를 유인하는데도 적절하다"며 "동북아 수퍼그리드에 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일본 정부와 자민당도 한일 전력계통 연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북한은 석탄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가스에 비해 전력 수요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말했다.
김상협 교수는 "에너지 안보에 기회, 도전, 위협이 있는데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며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4차 산업혁명 기술, 신성장동력과 연결돼 우리의 노력도 필요한데 한국이 어떻게 정치적 위험을 이해하고 극복해나갈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로버트 존스턴 유라시아그룹 CEO는 "동북아 수퍼그리드 프로젝트에 대해 아직 미국 전문가들은 잘 모르고 관심이 없다"며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지정학적‧상업적 잠재력이 있는 흥미로운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워싱턴에서 알게 된다면 분명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입장을 잘 알고 미 기업과 은행에 어떤 기회를 줄지에 초점을 맞춰 접근하면 미국에서도 관심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