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규모의 농경지에서 쌀을 생산하면 연매출은 30센트 수준이지만, 같은 규모의 땅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하면 연매출이 15달러가 발생해 50배가 넘는 소득을 낼 수 있다. 다년생 식물을 양육하는 것만 농업이라고 할 것이 아니라 에너지 양육도 농업이라고 봐야 한다”(홍준희 가천대 교수)
15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7 미래에너지포럼’ 2세션에서는 ‘뉴 에너지의 활용과 전망’을 주제로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뿐 아니라 소규모 수력 발전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2세션은 홍 교수의 진행으로 강남훈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자비에르 다발 프랑스 신재생에너지협회 부회장,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본부장, 박혜린 이노마드 대표, 류지윤 유니슨 대표가 토론했다.
강남훈 이사장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20%까지 끌어 올리려면 농촌 참여 태양광 보급이나 대규모 해상 풍력단지 조성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정부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현재 15GW에서 68GW로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윤재호 본부장은 태양광에너지의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윤 본부장은 “태양전지효율을 현재 15%에서 20% 이상으로 높이는 동시에 생산 가격도 1W당 30센트보다 더 낮게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며 “고효율의 플렉시블(flexible) 태양광 모델이 개발되면 건물 뿐 아니라 자동차 등 다양한 곳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발 부회장은 “풍력‧수력‧바이오매스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물 등은 여러 제약을 받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태양광 에너지는 비용 경쟁력이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어디에서든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류지윤 대표는 풍력 발전을 강조했다. 유니슨은 풍력 발전기 전문 업체로 풍향조사부터 단지설계, 파이낸싱, 발전 시스템 개발 및 생산, 단지조성 및 운영 등 풍력 발전 산업 전반에 걸쳐 여러 사업을 하고 있다.
류 대표는 “이번 정부가 2030년까지 전력 2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풍력 발전 비중을 16GW까지 늘려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국가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해 국내 풍력 시장을 확대하고, 풍력시스템이나 요소 부품의 국산화를 통해 풍력산업도 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해까지 국내 풍력발전 누적 설치량은 1GW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그는 “발전공기업이나 정책금융기관 등 공공기관들도 국내 대규모 해상풍력 시장의 참여자로 활동하고, 해외 수출시 금융 파트너로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대표는 필요한 전기를 직접 생산하는 시대가 왔다고 주장했다. 이노마드는 흐르는 물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수력발전기 ‘이스트림(Estream)'을 개발해 판매하는 업체다. 이노마드(enomad)는 에너지(energy)와 유목민(nomad)의 합성어다.
박 대표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실내로 제한됐던 전력 수요가 야외 지역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바닷가나 산에서 필요한 만큼 전력을 쓰려는 수요가 생겨나면서, 적은 전력이라도 능동적이고 접근이 용이한 방식이 가치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했다. 그는 “앞으로는 100W 미만의 적은 전력을 가정이나 개인 단위로 소비하게 될 것”이라며 “필요한 전기를 직접 생산하고, 전력 시스템에도 참여하게 되면서 프로슈머(prosumer) 개념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