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K 2024′ 포럼 5일 개최
나라스페이스 “국내 기업 해외와 기술 격차 크지 않아”
텔레픽스 “다양한 소비자 대상으로 한 상품화 중요”
인공위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전 세계 모든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됐다. 위성 영상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데이터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위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우주 기업들은 기후변화와 금융, 인공지능(AI), 심지어 가상현실(VR) 같은 몰입형 기술까지 접목하는 신산업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조근후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위성영상활용본부장과 원동식 텔레픽스 이사는 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스페이스K 2024′ 포럼에 참석해 지구관측을 기반으로 한 위성 기술과 미래상을 소개했다.
나라스페이스는 재난재해·도시·식량·환경 관련 위성 영상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서비스인 ‘어스페이퍼’를 제공하고 있다. 텔레픽스는 전 세계 야적장을 관측해 원자재 공급망을 모니터링하는 위성 영상 분석 서비스를 선보였다. 하드웨어도 개발했다. 나라스페이스는 ‘나르샤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메탄가스 측정용 초소형위성을 개발하고 있으며, 텔레픽스는 우주에서 AI 컴퓨팅을 수행하는 온보드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를 개발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위성 기업들은 이날 지구관측의 사업 가능성이 계속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원동식 텔레픽스 이사는 “예전에 비해 데이터 접근이 쉬워져 상상도 못 했던 것들을 해석해서 받을 수 있다”며 “기후변화와 금융처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있다”고 말했다. 조근후 나라스페이스 본부장도 “위성 영상 처리와 분석 관점에서 전 지구적인 시스템을 갖추면 그동안 분석하지 못했던 것들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라스페이스는 지난해 발사한 큐브위성 ‘옵저버 1A’를 시작으로 위성 대량 생산체계를 만들어 지구를 촘촘히 관측할 예정이다. 큐브위성은 기본 단위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인 초소형 위성으로 원래 교육용으로 개발됐지만 최근 전자공학이 발달하면서 과거 대형 위성이 하던 일까지 맡고 있다. 회사는 쌍둥이 위성 ‘옵저버 1B’를 연내에 발사한 뒤 군집으로 위성을 운용할 예정이다. 텔레픽스는 가시광선에서 적외선, 레이더파까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분석하는 다분광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에 맞춘 정보를 생산한다.
국내 위성 기업들은 기술력에서 자신감을 드러냈다. 조 본부장과 원 이사는 해외에 플래닛 랩스(Planet Labs)와 맥사 테크놀로지(Maxar Technologies) 같이 지구관측을 기반으로 한 대형 기업들이 있지만, 한국도 인적 자원과 기술 개발 경험이 뒤지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조 본부장은 “해외 기업과 국내 기업을 비교했을 때 기술 격차가 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어쩔 수 없이 시장 규모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품질에서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원 이사는 “기술력보다는 수요를 잘 고려하고 대중화해 다양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AI를 기반으로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같은 몰입형 기술이 일상에서 쓰일 정도로 발전한 만큼, (이전과 전혀 다른) 특이점에 온 위성 영상 기술이 다른 분야에 도약할 수 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위성 기업들은 각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주항공청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조 본부장은 “AI에게 위성 영상을 대량으로 학습시키려면 공공 위성 데이터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 이사도 “한국은 국가 대형 연구개발(R&D)의 성과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중심으로 한 학계의 소형위성 연구 같은 경험이 있다는 장점이 있는 만큼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도와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