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향후 사람이 하는 많은 일을 대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미래 기업의 경쟁력은 AI 또는 에이전트를 잘 활용하는 임직원들의 수와 직결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기철 삼성SDS IW 개발팀장(상무)은 27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AI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스마트클라우드쇼 2025′ 강연을 통해 이렇게 말했다. 정 상무는 이날 ‘기업에서의 SaaS: Personal Agent로 준비하는 기업 업무 혁신의 미래’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이메일 메신저, 온라인 미팅 등 협업 툴(도구)을 개발하는 한편, 해당 툴에 적용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의 코파일럿 기능도 개발하고 있다.
정 상무는 ‘에이전트‘의 정의를 ’단위 업무부터 연계 업무까지 사람의 개입 없이 끝낼 수 있는 것‘으로 정했다. 그는 “올해 들어 에이전트 AI를 이용한 생산성 향상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는 업체가 늘고 있다”라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만나 AI 에이전트에 대한 의견을 들었는데, ‘사람을 대신한다’ 또는 ‘사람의 개입 없이’라는 키워드를 공통적으로 언급했다”라고 전했다.
정 상무는 최근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성할 줄 아는 거대언어모델(LLM)이 나오면서 AI 에이전트 소프트웨어 개발이 한층 수월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정 상태를 판단하는 역할을 LMM이 할 수 있게 되면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큰 변화가 생겼다”라며 “덕분에 에이전트가 사람의 개입이나 판단을 최소화해서 자율적으로 완결형 업무를 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됐다”라고 밝혔다.
정 상무는 단순한 AI 에이전트를 넘어 개인화된 ‘퍼스널 에이전트’ 개발 과정도 설명했다. 그는 “업무 데이터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업무 패턴 모두 임직원 개개인마다 다르다. 그런 부분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라고 밝혔다. 또 “개인의 업무 맥락을 이해하거나 개인을 대신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고민거리였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개인의 업무 데이터는 시스템이 활용하지만,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철저히 개인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AI 에이전트가 도입돼도, 임직원이 활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정 팀장은 업무 문화에도 AI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 상무는 “아무리 좋은 AI 솔루션을 도입하더라도 잘 활용되지 않으면 사장 돼 버린다”라며 “임직원이 매일 사용할 수 있는 AI 기능이 단 하나라도 있으면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에이전트가 수많은 반복 업무를 할 수 있는 체계가 되면, 또는 AI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되면 개개인이 더 생산적인 일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