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주 산업부 에너지정책관 강연
이원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은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하는 방정식을 풀어야 한다”며 “원자력 발전을 비롯한 에너지 기술 혁신을 통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탄소 배출량은 줄이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의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 정책관은 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3 미래에너지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 정책관은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을 주제로 강연하며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는 “세계 에너지 공급망이 불안해 1년 새 천연가스 가격이 10배 뛰는 등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탄소중립 역시 지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나라가 일관되게 추진하는 메인 스트림(main stream·주류)으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선 원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이 정책관은 설명했다. 그는 “국내 대표적인 태양광 발전의 설비용량은 25기가와트(GW)로 원전을 넘어섰다”며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맑은 날 16~17GW의 출력을 내다가 비가 내리면 10GW 가까이 출력이 줄어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재생 에너지의 이런 간헐성을 원전이 보완할 수 있다. 여러 나라의 에너지 전문가들 역시 ‘원전이 안정적이고 경제적이면서 탄소 배출이 없는 전원(電源·전기 에너지의 원천)’이라고 평가한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는 에너지 정책 방향 중 하나로 ‘실현 가능하고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 재정립’을 제시했다.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에서 원전 비중을 32.6% 이상으로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21.6% 이상으로 키우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또 에너지 신(新)산업도 육성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원전 ▲수소 ▲재생에너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고효율 기자재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핵심 신산업으로 꼽았다.
이 정책관은 “원전 산업 생태계를 완전히 정상화하고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는 것이 목표”라며 “수소는 수전해, 연료전지, 수소선박, 수소차, 수소터빈 등 5대 핵심 분야 기술 자립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이어 “차세대 재생에너지 기술을 개발하고,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도 이어가겠다”며 “에너지 기술 개발에만 올해 1조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했다.
정부는 에너지를 비롯해 기후테크 산업에 대한 투자도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민간과 함께 2030년까지 145조원을 투자해 유니콘(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기업) 10개를 육성하고, 수출 10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후테크 분야 신규 일자리도 10만개 창출하겠다고 했다.
이 정책관은 “국민과 산업을 지키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에너지 기술 혁신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며 “기술 혁신이 에너지 신산업 육성과 연결되면 한국이 탄소중립·에너지 안보 시대의 진정한 승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